최종편집 2024년 11월 28일 16시 15분
2019년 대북정책 평가와 과제
[스페셜리스트 | 외교·통일] 왕선택 YTN 통일외교 전문기자·북한학 박사
2019년 대북 정책은 매우 실망스럽다는 평가를 피할 수 없다. 2018년에 긍정적인 사태 변화가 쏟아졌었기 때문에 실망감은 더욱 크다. 그렇지만, 실망감에 위축되기보다는 사태 악화 원인과 대응책을…
강제 징용 배상 논란과 문명국가의 과제
지난해 10월 대법원 강제 징용 배상 판결은 우려했던 대로 심대한 후폭풍을 만들어냈다. 지난 7월 이후 한국과 일본의 외교, 무역 분쟁을 유발했고, 이후 한국과 미국의 외교 충돌로 비화됐다. 북핵 문제…
한·일 외교 충돌에서 승리하려면
2019년 7월4일, 일본 정부가 한국을 상대로 경제 보복을 시작했다. 안보와 관련한 수출 관리 조정이라고 하지만,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관련한 보복이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한일 관계 역사에…
한국은 언제 촉진자가 되었나?
2017년 5월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평화 촉진 외교가 전개되고 있지만, 한국 정부 역할에 대해서는 논란이 지속하고 있다. 중재자, 촉진자, 당사자 등등의 용어가 나오고 있는데, 이들 용어는 일…
기로에 선 평화 촉진 외교... 과제와 유의점
지난 2월 말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이후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체제 구축을 목표로 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평화 촉진 외교는 대내외적으로 많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북한에서는…
펠로시 발언과 대미 외교 역량 강화
지난 12일 낸시 펠로시 미 연방 하원 의장이 한국 의회 지도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회의적 발언을 제기해 충격을 안겨줬다. 발언 요지는 지난해 1차 북미 정상회담 성과가 없었기…
대북 정책은 ‘철인 7종 경기’
2018년 내내 한반도 정세 격변이 진행되면서 대북 정책 성과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대북 정책을 공정하게 점검하려면 신뢰성 높은 체크리스트가 필요하다. 필자가 지난 20년…
동아시아 철도 공동체, 장애물과 과제
지난 15일 문재인 대통령이 동아시아 철도 공동체 추진을 제안한 것은 우리 외교사 차원에서는 상당히 의미 있는 사건이다. 특정 국가 발전을 위한 구상이 아니라 참여 국가 전체의 공동 이익을 상정한…
한반도 평화 체제 구축과 미국의 이익
한반도 정세 격변은 지난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북미 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더욱 활발한 양상을 띠고 있다. 그렇지만, 미국의 전통적인 엘리트 집단은 줄잡아도 90% 이상이 북미 관계 개선을 향한 도…
북핵 문제 역사 교훈과 적폐 청산에 대하여
[스페셜리스트 | 외교·통일] 왕선택 YTN 통일외교 전문기자· 북한학 박사
한국인은 물론 한반도에 관심이 많은 지구촌 모든 사람에게 2018년은 역사적인 한 해가 되고 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비핵화 용의를 천명하고, 4월 말 남북 정상회담 개최가 합의되고, 5월…
남북 대화, K street, 공공 외교
미국 워싱턴 백악관 북쪽으로 세 블록을 더 올라가면 ‘케이 스트리트(K street)’가 나온다. 유명한 싱크탱크 사무실이 이 거리 주변에 포진해 있어서 ‘케이 스트리트’는 워싱턴 싱크탱크 여론을…
문재인 외교, 2단계 목표와 과제
지난 5월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지 6개월이 지나는 시점에서 외교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혼란이 수습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말 외교 공백이 시작하고, 외교 분야 사면초가 현상이 심각했다는…
뉴욕 군함도 홍보물 오류 파문의 교훈
외교는 다른 나라와 협상을 통해 국가 이익을 최대화하는 국가 차원의 노력이다. 그런데 특정 외국과 갈등 상황을 계기로 해당 국가를 겨냥한 집단적 증오 표출이 외교 정책의 요체로 둔갑하는 경우가…
장사정포와 순방, 1.5 트랙의 공통점은?
한반도는 남북 분단과 정전 체제 모순이 동시에 작동하는 지정학적 특성 때문에 외교, 안보 분야에서 민감한 사건이 끊임없이 나타난다. 이에 따라 복잡다단한 상황을 묘사하기 위해 새로운 용어를 만들…
문재인 정부 대북 정책 성공을 위한 제언
2017년 5월10일, 문재인 대통령이 공식 업무를 시작한 이후 나라 안팎의 다양한 불안 상황이 상쾌하게 정상화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성숙한 민주주의를 체험할 수 있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