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1월 28일 16시 15분
기자 탄압이 일상화된 현실이 서글프다
고대 그리스에서 ‘참주’ 정치는 자유인의 입을 틀어막고, 말을 왜곡하는 것으로 시작됐다. 현상을 정의하고, 기억하고, 예측하는 도구인 언어를 점령하는 폭력은 썩어가는 권력의 습성이다. 제 입맛…
8년 버텨온 YTN 해직기자들을 지지한다
창간 70주년을 맞은 경향신문이 1면에 컵라면과 삼각김밥을 올려놓은 파격적인 편집이 화제가 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자기비하’라고 치부했지만 컵라면과 삼각김밥은 ‘헬조선’에서 살고 있는…
김영란법을 대하는 언론의 자세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김영란법)’이 시행된 지 1주일. 대한민국 사회는 김영란법의 회오리 속에 있다. 정부청사 구내식당이 북적이고 당분간은 사람 만나기를 기피하는 풍토…
백종문, 그 입에 언론자유를 담을 수 있나
‘녹취록 파문’의 당사자인 백종문 MBC 미래전략본부장이 2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하지 않았다. 여·야 합의에 따라 증인으로 채택됐는데도 노골적으로 국회를 무시하고 국감장…
수도권 중심의 재난보도, 이대로 좋은가
경주 지진 관련 보도가 도마에 오른 한 주였다. 지난 12일 경북 경주에서 역대 최대 규모인 5.8의 지진이 발생했는데 정보 전달체계는 그야말로 엉망진창이었다. 국민안전처의 홈페이지가 ‘먹통’이…
조선일보 기자들의 용기를 응원한다
우리는 조선일보와 청와대의 벼랑 끝 충돌이라는 ‘정치 드라마’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 우병우 민정수석의 부패 혐의가 조선에서 잇따라 단독보도되자, 송희영 조선일보 전 주필의 부패 혐의…
휴대전화 압수수색은 명백한 언론 침해다
우리는 검찰 특별수사팀이 이석수 전 특별감찰관의 누설 의혹 수사를 명분으로 통화 당사자인 조선일보 기자의 휴대전화까지 압수해 간 것은 명백하고도 중대한 언론자유 침해라고 판단한다. 그 이유…
KBS, 더 망가지지 마라
갈 데까지 가보자는 것이 아니라면 이쯤에서 멈춰야 한다. ‘이정현 녹취록’에 침묵한 KBS 보도방향을 비판한 기자를 제주로 내친 지 한 달이 넘었다. 보복인사를 철회하라는 동료들의 피케팅 시위는…
기자들은 어떻게 살아야할 것인가
정확히 52년 전 오늘, 한국기자협회의 역사는 시작되었다. 박정희 정권이 언론 통제를 위해 강권했던 ‘언론윤리위원회’라는 기구 대신, 기자들 스스로 언론 자유를 수호하고 각자의 권익을 지키기 위…
김영란법 합헌 결정, 국민 눈높이로 보자
‘김영란법’ 적용을 받는 공직자 ‘등’에 언론이 포함되며 시작된 논쟁이 마침표를 찍었다. 지난달 28일 헌법재판소가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일명 ‘김영란법’을 합헌 결정…
인사보복, KBS 어쩌다 이렇게 됐나
한국사회의 자정능력이 심각하게 깨졌음을 확인하는 상징적 사건이 이어진 한 주였다. 시민사회를 위한 법 집행이라는 무거운 책임을 가진 검사장은 기업체들에게 경제적 편익을 받고 법을 ‘팔아넘겼…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 지금이 적기다
김시곤 KBS 전 보도국장이 폭로한 ‘이정현 녹취록’ 파문이 방송법 개정 움직임으로 확산되고 있다. 핵심은 청와대와 여당이 사장을 실질적으로 낙점하는 이사회 구성을 바꾸자는 쪽으로 모아진다…
권력의 보도 개입, KBS만의 일인가
지난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 당시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이 김시곤 KBS 보도국장에게 전화를 걸어 속사포처럼 떠들어댄 소리는 권력의 안하무인 행태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공영방송의 보도책…
언론의 ‘황색화’, 이대로 괜찮은가
영국은 19세기 인쇄 대중화 이후 유럽에서 가장 먼저 출판산업이 발달한 곳이다. 특히 대중의 오락거리인 ‘황색언론’의 메카로도 꼽힌다. ‘더선’은 1970년부터 3면에 상반신을 탈의한 여성 모델…
추혜선 의원은 미방위로 가야 한다
정의당 추혜선 의원의 국회 상임위 문제가 쉽게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민주언론시민연합과 언론개혁시민연대 등 13개 언론시민단체는 지난 20일 국회 정론관 기자회견에서 “추 의원이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