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4월 09일 18시 40분
‘어떻게’는 ‘왜’ 문제가 되는가
지난 1월24일, 미국에서는 래리 나사르라는 의사가 20여년 간 160여 명이 넘는 십대 여성과 성인 여성을 성추행한 혐의로 최장 175년형을 선고 받았다. 로즈마리 아퀼리나 판사는 래리 나사르의 ‘반…
저널리즘: 사실과 진실
그 원인을 어디서 찾든 언론의 신뢰도가 떨어진 것은 현실이다. 정치적인 요인 때문이든 자본의 압박이 원인이든 지금의 언론은 대중의 신뢰를 잃었다. 민주주의 관점에서 보면 대중이 신뢰하지 않는 언…
망각된 저널리스트의 역할
“우리의 역할은 사람들을 기쁘게 하는 것도, 해를 가하는 것도 아니다. 우리의 역할은 상처에 펜을 가져다 대는 것이다.” 프랑스의 전설적인 저널리스트, 알베르 롱드르가 1929년 자신의 저서인 칠흑…
영화 ‘1987’과 저널리스트
영화 1987을 관람한 뒤 1987년과 2017년이 만나는 접점을 생각했다. 그 중 하나가 19대 대선 문재인 후보의 승리다. 이 승리는 ‘서사의 힘’, ‘스토리텔링’에 힘입은 바가 커 보인다. 지난 대통령…
언론인과 언론사, 블록체인에 주목하라
지난 연말 모임 자리에서 비트코인은 단연 가장 뜨거운 화제였다. 한 신문사의 주니어 기자가 몇 년 전 취재하다 접한 비트코인 150만원어치를 사서 큰 이익을 보았다더라는, 확인되지 않은 소문까지 오…
국민들의 언론에 대한 불신과 해법
국민들이 언론에 대해 갖는 불신은 일단 지난 10년간 정권의 언론장악에 기인한다. 정권 홍보용 언론으로 길들여진 언론은 세월호 참사 당시 전원 구조 오보를 비롯해 각종 주요 사건 사고에서 국민들의…
절호의 기회? 혹은 위기?
문재인 대통령 방중 외교를 두고 참 말이 많다. 외교가 국가의 존립에 매우 중요하니 관심도 많고 평가도 다양할 수 있다. 그렇지만 최근 일부 언론이 보여주는 모습은 그리 바람직하지 않아 보인다.가장…
저널리즘 문화의 변화가 시급하다
언론사가 제공하는 뉴스의 위기는 하루 이틀의 일이 아니다. 수많은 뉴스 플랫폼이 등장하면서 기존의 단순 정보 전달 기능을 지속하는 것은 더 이상 의미가 없어졌음에도 이러한 정보들이 무한 반복되…
MBC 신임 사장을 기다리며 묻는다
지상파에 몸담고 있기에 지상파 방송을 이끄는 리더십의 변화를 당연히 관심을 갖고 지켜본다. 특히 진행 중인 MBC 사장 공모에서 사장 선임 기준에 눈길이 간다. △공영방송에 대한 이해와 철학 △M…
네이버와 언론사, 그리고 ‘업을 관통하는 핵심’
언론사들에게 네이버는 최고의 관심사다. ‘애증의 대상’이다. 네이버는 때로는 협조를 받아 방문자 수를 늘려야하는 ‘우군’이, 때로는 뉴스 플랫폼을 선점해 언론사들의 ‘고난’을 가져온 ‘악당…
공영방송 사장 선임은 국민의 손으로
사실상 정부와 여당이 임명하는 공영방송 사장이 정권으로부터, 나아가 정치로부터 자유롭게 방송사를 운영한다는 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래서 오래전부터 공영방송 사장을 정치권이 아니라 각…
사실상 정부와 여당에 의해 임명되어지는 공영방송의 사장이 정권으로부터, 나아가 정치로부터 자유롭게 방송사를 운영한다는 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래서 오래전부터 공영방송 사장을 정치권…
가짜 뉴스의 해법 : 팩트체크? 언론의 신뢰?
전 세계에서 가짜 뉴스 문제가 불거지고 난 후 지난 대선 시기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는 네이버와 16개 언론사 공동으로 대선 후보들의 발언을 팩트체크한 기사를 네이버에 게재했다. 자유한국당은 네…
받아쓰기 보도, 이제는 멈춰야 한다
정치인이나 유명인의 막말 수준의 발언을 검증 절차 없이 받아쓰는 방식의 보도는 한국 언론의 일상이 된지 오래다. 그러나 이들의 발언이 사실(Fact)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슈가 되면 일단 보도하고…
언론 적폐, 그 깊은 뿌리에 대해
1980년 11월은 한국 언론史에서 가장 치욕적인 시기다. 전두환 신군부 보안사령부에 만들어진 언론반은 기회주의적인 언론인을 접촉해 언론사 내부 동정과 구조 등을 파악하고 필요한 정보를 수집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