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4월 12일 17시 18분
최승호와 박성제, 그리고 권성민
[언론 다시보기] 김진혁 한국예술종합학교 방송영상과 교수
MBC의 최승호 PD, 박성제 기자 두 해직언론인이 근거 없이 해고되었다는 내용이 담긴 녹취록이 공개됐다. 백종문 현 MBC 미래전략본부장이 과거 한 자리에서 두 사람이 파업의 배후란 증거가 없음에…
국정교과서 여론, 주류 언론의 영향력 약화
국정교과서와 관련한 여론조사의 변화 추이가 흥미롭다. 국정교과서가 처음 이슈가 됐을 때만 해도 찬성이 반대보다 높았으나 최근엔 수치가 역전되어 반대가 찬성보다 대략 10% 정도 높다고 한다. 대…
국정교과서 관련한 여론조사 변화 추이가 흥미롭다. 국정교과서가 처음 이슈가 됐을 때만 해도 찬성이 반대보다 높았으나 최근엔 수치가 역전되어 반대가 찬성보다 대략 10% 정도 높다고 한다. 대다수…
대안언론, 정파성 그리고 생존
알 만한 사람들은 다 알면서도 아는 척하기가 어려웠던, 하지만 그렇다고 모른 척 할 수만은 없었던 속칭 ‘국민TV 사태’가 어느 정도 마무리가 된 상황이다. 나 역시 같은 마음으로 속 끓이며 지켜봤…
국제시장과 아메리칸 스나이퍼
영화 ‘국제시장’을 둘러싼 논란은 이제 잦아든 상태다. 대충 정리된 논쟁의 결과는 ‘이념으로 영화를 바라볼 필요는 없다’ 정도인 것 같다. 동의한다. 하지만 영화 국제시장은 애초부터 이념이 논란…
‘정윤회 의혹’을 ‘문건 유출’로 프레임 전환하는 보수언론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1일 국무회의에서 최근 불거진 정윤회 국정개입 의혹에 대해 처음으로 언급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번에 문건을 외부로 유출한 것도 어떤 의도인지 모르지만 결코 있을…
안전 대신 유병언을 선택한 유병‘언론’들
연일 사고다. 왜일까? 현 정권 들어서서 벌어지는 수많은 사고들을 지켜보면서 아마 누구라도 도대체 왜 이렇게 사고가 발생하는지 한번쯤 자문해봤을 것이다. 나 역시 마찬가지다. 하지만 아무리 생각…
중도층은 없다
처음으로 조지 레이코프란 인지언어심리학자를 접한 건 2000년도 중후반 쯤이었다. 그가 책에서 제시한 ‘프레임’ 이론에 굉장히 큰 충격을 받았고 보다 많은 이들이 알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같은…
세월호, 기억 그리고 감성팔이
[언론다시보기] 김진혁 한국예술종합학교 방송영상과 교수
사회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사건이 발생했을 때 이를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에 대해 우리사회가 보여주는 태도는 매우 미숙하다. 아니 나 자신부터 기껏해야 언론의 &lsqu…
‘기레기 논란’이 주는 경고
기레기. 민망한 말이지만 기자와 쓰레기를 합친 은어다. 예전에도 가끔 인터넷 댓글에서 보곤 했었는데 세월호 참사를 겪으면서 좀 더 보편(?)화된 언어가 되었다. 그래서인지 많은 기자들조차 스스로…
대안언론, 그리고 인터넷 플랫폼 전쟁
얼마 전 국민TV가 ‘뉴스K’를 선보이며 TV라는 이름에 걸맞은 TV방송을 시작했다. 물론 당장은 TV가 아닌 인터넷을 통해 시청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지만 대안매체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