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각 분야에서 주5일 근무제가 정착되고 있다. 지난해 7월 1일부터 1천명 이상 사업장에서 주5일 근무제가 의무적으로 시행된 데 이어 올 7월 1일부터는 3백명 이상 사업장으로 확대된다. 그러나 사회 분위기에 편승해 3백명 미만의 사업장이라도 회사 자율적으로 이미 주5일 근무제를 시행하고 있는 곳도 적지 않은 듯하다.
금융권과 관공서와 연관된 일을 하는 사업장일수록 토요 휴무제를 시행하는 곳이 많은 것같다. 은행과 관공서도 문을 닫는 판에 토요일날 나와 봐야 무슨 일을 하겠냐는 것이다. 이미 금융권은 주5일 근무에 돌입한 지 2년째 접어들고, 정부 부처와 시청, 구청, 동사무소 등 관공서도 2003년 7월 1일부터 월 1회 토요 휴무제를 시행한 데 이어, 지난해 7월 1일부터는 격주 휴무를 실시하고 있다. 심지어 올 3월부터는 초·중·고등학교에서도 의무적으로 월 1회 토요 휴무에 들어갔다.
사실 돌이켜보면, 국민의 정부 때부터 노·사·정이 논의한 주5일 근무는 진통에 진통을 거듭했다. 반대론자들은 ‘경제도 어려운데 무슨 배부른 소리냐’고 힐난했고, 찬성론자들은 ‘국제노동기구(ILO) 회원국 가운데 우리나라의 노동시간이 가장 길다’고 맞섰다.
이런 진통 끝에 노·사·정은 큰 사업장부터 단계적으로 주5일 근무제를 시행하기로 전격 합의했고, 지금은 많이 정착된 느낌이다. 토요일 아침의 도로가 평일에 견줘 한결 한가한 것만 봐도 그렇다. 하지만 지금도 주6일을 출근해야 하는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의 상대적 박탈감은 여전하다. 이 문제는 노·사·정이 주5일 근무제를 대규모 사업장부터 적용하는 데 합의하면서부터 이미 불거졌다.
그런데 언론사의 현실은 어떤가. 대부분의 방송사는 1천인 이상 사업장으로서 이미 지난해 7월 1일부터 주5일 근무제를 시행하고 있다. 조선일보와 경향신문 등도 올 초부터 발빠르게 주5일 근무제를 실시하고 있다. 나머지 신문사들도 좋던 싫던 오는 7월부터는 주5일 근무제를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시행 두달 남짓을 남겨 놓은 지금, 대부분의 신문사들은 하늘만 쳐다보고 있는 형국이다.
최근 신문산업의 위축으로 신문사마다 기자 수가 줄어들어 주5일 근무제 시행은 더더욱 어려운 처지에 놓였다. 기자들도 회사가 과연 7월부터 제대로 주5일제를 시행할 수 있을지 의문을 던지고 있다. 이러다간 말로만 주5일 근무를 해놓고, 그나마 나오던 휴일 수당마저 없어지는 게 아닌가 걱정이 태산이다.
신문기자가 방송기자와 같은 출입처 옆자리에 나란히 앉아서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도 크다. 신문기자들은 월급도 많이 깎였는데 주5일 근무 같은 복리후생에서도 방송사에 뒤쳐지기 때문이다.
신문사들이 주5일 근무제를 시행하기 위해선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무엇보다 부서간 불균형을 해소해야 한다. 당장 일주일에 5일만 출근해도 문제없이 돌아가는 부서가 있는가 하면 당장 하루라도 비면 대체 인력이 없어 허덕이는 부서도 태반이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문제는 주5일제에 임하는 언론사들의 성의 있는 자세다. 적당한 휴식이 있어야 능률도 오르는 법이다. 언론사마다 빈틈없는 주5일제 대비로 오는 7월부터는 언론노동자들의 삶의 질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될 수 있길 바란다.
편집위원회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