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주장] 콘텐츠 시장 헐값 판매 안된다
국내 언론사들이 전례 없는 불황에 휘청거리는 가운데 막강한 자본력을 자랑하는 대기업체들이 포털 사이트 자회사를 우후죽순 격으로 설립해 새로운 뉴스시장을 형성해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후발 업체들이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해 물량 공세를 앞세워 일부 신문사가 기존의 인터넷 포털업체와 뉴스 공급 계약기간이 남아있는데도 일방적으로 계약 파기를 요구하는 등 파행도 서슴지 않고 있다.
특히 일부 포털 업체의 경우 출범도 하기 전에 지나치게 공격적인 시장공략 방식으로 인해 벌써부터 공정거래위원회가 ‘민사적 손해 배상 책임’까지 운운하는 것은 심상치 않은 사태를 불러올 게 불을 보듯 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반응이다.
포털업체는 물론 계약 당사자인 스포츠 신문과 오프라인 신문들의 담합에 가까운 ‘동조행위’도 백번 지적 받아 마땅하다.
하지만 위세를 자랑하던 신문사들도 앞다퉈 감면을 시행하는가 하면, 대규모 인원 감축설이 언론가 주변에서 악령처럼 떠돌고 있는 데다 대대적인 임금 삭감도 불가피하다는 소문이 꼬리를 물고 있다.
허리띠를 졸라 매던 오프라인 신문사들이 한때 눈길조차 주지 않았던 분야인 무료지 시장에 너도나도 뛰어들어 무한 경쟁을 벌이는 것도 암울한 신문시장의 현실을 반영한다.
거기다 회복 가능성이 희박해 ‘사형선고’만을 남겨놓은 특정 신문사를 시작으로 일기 시작한 기자들의 엑소더스가 비슷한 환경의 다른 언론사까지 파고드는 소위 도미노 현상이 나타난 지 이미 오래다.
더구나 역대 어느 정권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강도로 언론 개혁을 표방하는 참여정부가 출범한 지 벌써 2년째 접어들면서 이른바 메이저 신문사들마저 제대로 맥을 추지 못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신문사들은 ‘메이저’와 ‘마이너‘, 종합지와 특수지, 중앙과 지방 등의 구분 없이 ‘살아남기식’ 무한경쟁을 벌여야할 절박한 상황에 내몰리는 형국이다.
특히 일부 여유 있는 포털업체는 기존의 언론사와 맞먹는 규모의 취재진을 확보해 현장에 내보내고 있어 기존의 오프 라인 언론사들이 체감하는 위기감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이런 열악한 언론 환경을 업고 등장한 포털 사이트들의 대규모 물량공세를 탓하는 것 자체가 어떻게 보면 일종의 사치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그동안 권력과 자본에 대한 견제와 균형 역할을 해온 언론의 고유 기능을 뒤돌아 볼 때 하루아침에 자본과 시장 논리로만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분명히 있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다. 분명 우리 사회에 독버섯처럼 자라온 언론의 역기능을 도려내고 그 자리에 새살이 돋도록 해야 한다면 언론계 내부는 물론 외부에서도 정의와 상식이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아 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너 나 할 것 없이 시대 변화에 따른 언론계 나름대로의 공정한 룰을 세워 나가는 게 필요한 시점이다.
그런 의미에서 ‘콘텐츠 시장’ 가격 조정과 관련해 일방적 계약파기 요구 등 엄청난 파장을 몰고 온 대기업체 자회사에 대해 다시 한번 자성의 계기로 삼을 것을 촉구한다.
우리의 주장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