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계는 왜 중앙에 냉담한가>

'편파보도하며 뒷거래 시도' '신문전쟁의 주범' 시각도 한몫

타사 기자들은 왜 중앙일보에 이토록 호의적이지 않은 것일까?



가장 먼저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전쟁'이라고까지 불리는 신문업계의 경쟁에서 '경쟁자의 손해는 곧 나의 이익'이라는 물질적 이해관계 차원의 인식을 들 수 있다. 이와 관련해 한 신문사 차장은 그 동안 중앙일보가 물량 경쟁을 통해 신문업계의 판매 질서를 어지럽히는 데 가장 앞장섰다는 점을 지적하며 "그렇기 때문에 합리적 판단 이전에 우선 중앙일보가 타격을 입는 것이 통쾌하다"고 말했다. 이 점은 기자들이 대체로 공감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런 감정이 이번 사태의 인식을 지배한다고 할 수는 없다. 언론인들이 지적하는 중앙일보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정도를 벗어난 보도 태도와 여기에 더한 중앙일보의 뒷거래 시도다.



한 전직 신문사 편집국장은 "지난 대선 당시 많은 신문들이 편파 보도를 했지만 중앙일보의 보도는 특히 심해서 언론사에 길이 남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또 한 신문사 간부는 "중앙일보가 정부의 언론 탄압 사례로 지적한 기사들은 언론인의 입장에서 볼 때 문제가 많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중앙일보보다 정부에 더 비판적인 신문도 있지만 기사를 취급하는 방식이 중앙일보처럼 거칠지 않다"고 덧붙였다.



한 신문사 기자는 "중앙은 정부에서 인사 간섭까지 했다고 주장하지만 내용을 들여다 보면 오히려 중앙이 먼저 정부에 뒷거래를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며 중앙의 언론 탄압 주장은 뒷거래를 시도하다가 정부가 거절하자 나온 반응이라고 보았다. 그는 이러한 태도 때문에 더 정부 비판적인 논조를 보인 다른 신문보다 더 큰 미움을 사게 되었을 것으로 추측했다.



일부에서는 홍석현 사장은 결국 재벌을 기반으로 한 사주이지 언론인으로 보기는 힘들다는 점을 지적했다. "언론에 관한 아무런 경험도 없는 사람이 불과 몇 년 전 자형의 후광을 업고 갑자기 신문사주로 변신하여 신문업계 판매 체계를 어지럽히더니 대선 때는 노골적인 편파 보도를 한 뒤 이제 명백한 탈세를 언론탄압이라고 주장하니 누가 공감하겠느냐"는 것이다.



몸에 좋은 약은 입에 쓰다고 한다. 중앙일보는 이러한 지적이 못마땅하더라도 한 번 새겨보는 것이 앞으로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 일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