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주장] 언론과 권력의 '건강한 긴장관계'

우리 언론 특히 소위 ‘빅3 신문’의 최근 보도 양태를 보면서 언론과 정부 즉, 권력의 관계를 다시 한번 상기하지 않을 수 없다.

흔히들 언론을 두고 무관의 제왕이니 제4의 권부니 칭할 정도로 언론은 현대 민주주의 체제에서 중요하고도 막중한 위치와 구실을 맡고 있다. 민주주의 시스템의 골간인 여론 형성을 담당하면서 권력에 대한 견제와 감시역을 맡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론과 권력은 본래 긴장관계를 유지하는 게 정상적이다.

노무현 정부가 집권 초기부터 언론과 ‘건강한 긴장관계’를 유지하겠다는 언론관을 피력한 것은 이런 의미에서 매우 합당하다고 본다. 언론에 대한 탄압이나 의도적인 길들이기 정책을 시도하지 않을 뿐더러 과거와 같이 언론에 고분고분하거나 특혜를 주지도 않겠다는 뜻인 한에서는 권력쪽의 바람직한 정책 선택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 정권 출범 4개월째에 접어든 현재까지 권언 관계는 긴장은 있을지언정 애석하게도 건강함은 보이지 않는다는 게 우리의 판단이다.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그 원인의 상당부분은 권력쪽이 아닌 언론쪽에서 나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메이저 신문들의 그동안 보도 태도를 보면 이들이 초반부터 정권 길들이기 내지는 의도적인 때리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일부 관측이 나올 정도로 부정적인 보도 일색이기 때문이다.

노 대통령 형인 건평씨의 부동산 문제에서부터 안희정씨 문제, 이기명씨 용인땅 매매 등 대통령 주변의 각종 의혹을 여과없이 확대 재생산해온 것이나 화물차 연대 파업과 NEIS 파동때 문제의 본질을 파헤치기보다는 사회세력간 힘겨루기로 몰아붙이는 보도를 한 것 등이 대표적인 예다. 또 “이런 식으로 가다간 대통령직 못해먹겠다는 위기감이 든다”는 노 대통령의 가십성 발언을 정색을 하고 1면 톱으로 다루는 등 대통령의 잦은 실언을 말꼬리잡는 식의 보도도 흔했다.

권력의 정점인 대통령과 그 주변에 대한 언론의 감시와 비판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는 것에 이론이 있을 수 없다. 다만 때와 대상에 따라 비판의 잣대를 달리하거나 형평성을 잃을 경우에는 얘기가 달라진다. 불과 1년전만 해도 정부의 NEIS 추진에 대해 정보인권 침해를 이유로 비판하던 태도를 아무런 설명도 없이 하루아침에 바꾼채 이번에는 NEIS를 유보하기로 한 정부를 비판하는 것 등은 잣대가 달라진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이러한 보도태도로 인해 빅3 신문이 정당한 비판과 견제를 넘어 의도적인 권력 흔들기를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낳을 수 있다고 본다.

물론 노 정권의 잇따른 정책 혼선 등을 집권 초반이라고 해서 눈감는다면 그 역시 참된 언론이 아님은 물론이다. 문제는 비판이 충분히 근거있느냐와 정치적 의도성의 게재 여부에 달려있다. 빅3 신문 책임자는 이 부분에 있어 진정 떳떳하다고 내세울 자신이 있는지 묻고 싶다.

우리는 그동안 언론이 권력 만들기에 나서거나 스스로 권력을 자처하는 등의 민주주의 교란행위를 봐왔다. 특정 정치세력이나 권력 밀어주기 못지 않게 의도적인 때리기 역시 언론의 본분을 벗어난 횡포임에 틀림없다. 권력과의 냉정하고도 건전한 거리두기를 다시 한번 새겨볼 시점이라고 본다. 우리의 주장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