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왜곡된 엠바고 이번에 뿌리뽑는다

편집국 총회 열고 청와대 기자실 항의 방문... 백서발간·토론회 추진

"엠바고는 조간신문 기자들의 횡포다."



25일 문화일보 기자들은 편집국 총회를 열어 왜곡된 엠바고 관행 철폐를 위한 결의를 다지고 일부 출입처 기자실의 자의적 운영을 집중 성토했다. 이날 총회에서는 사설 또는 사고를 통한 적극적인 입장 표명, 기자윤리강령 제정 방안과 함께 엠바고가 국민들에게 직접적인 손실을 미치는 증거들을 모아 PC 통신에 게시하는 등 총력 대응 방안이 제기돼 사례 발굴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청와대 기자실 출입정지 3개월 징계를 받은 최영범 기자는 "예정된 APEC 동행취재 때 대통령 전용기 탑승과 현지에서 프레스룸 사용 모두 금지시키자는 일부 기자들의 의견도 나왔으며 한때 본관 출입 자체를 막겠다는 징계안도 거론됐다"고 말해 동료기자들이 공분했다.



경제부 박승윤 기자는 "세종증권 사장 구속 건은 검찰 엠바고로 미리 알려져 있었는데 10여일 뒤에야 공식 발표돼 이 기간 세종증권 주가 하락 이유를 일반인들은 몰라 손해를 입었을 것"이라고 엠바고 폐해 사례를 들었다.



국제부 오창규 차장은 "조간신문들이 다음날 보도키로 한 엠바고를 전날 발행하는 가판에 기사화하면서 이보다 3~4시간 앞서 보도하는 석간에만 유독 엠바고를 지키라는 논리는 횡포이자 국민들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비난했다.



이어 김호준 편집국장을 비롯한 국장단이 배석한 가운데 기자들은 국민들의 알권리를 위해 그동안 편의주의와 자의적 판단에 따라 오용된 엠바고 관행에 맞선 '즉시보도' 원칙을 세웠다. 기자들은 ▷낮 12시 이전 발생한 모든 사건 취재 ▷행정편의에 따른 자의적 엠바고 거부 ▷사전고지 없는 엠바고 설정 관행 수용 거부를 선언하는 결의문을 채택했다.



또한 기자협회 지회(지회장 정하종)와 노조 공정보도위원회는 26일 청와대 기자실을 방문해 대통령 일정을 모두 엠바고로 규정할 근거가 없으며, 징계의 형평성과 일관성에도 결격사유가 있음을 지적하는 공개질의서를 출입기자단에 전달하고 10일까지 답변을 요구했다.



이밖에 문화일보는 구체 행동지침 마련, 엠바고 오@남용 사례 백서 발간, 언론유관단체와 공동 토론회 개최를 추진할 실무대책팀(팀장 이태희)을 구성, 27일부터 본격 가동했다.



각 언론사에선 적극적 반응은 시기상조라는 판단하에 문화일보의 동태를 예의주시하는 반면, 그간 관행에 불만을 가져왔던 외신기자들은 환영의뜻을표하고 있어 엠바고 논란은 가속화할 전망이다. 김 일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