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주장] 떳떳해야 당당한 비판할 수 있다
최근 매일경제 장대환 전 사장의 총리 지명을 계기로 언론사 경영진과 고위 간부의 재산과 주식보유 현황을 자진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언론계 안팎에서 높아지고 있다.
우리는 결론적으로 공직자윤리법이 제정될 당시부터 제기됐던 것처럼 언론사 사주와 경영진, 고위 간부 역시 언론기업의 공익적 특성에 비춰 자신의 재산형성 과정과 그 내역을 반드시 공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 기준과 절차도 공직자에 준해야 하며 국민들이 납득할만한 수준으로 정직하고 투명하게 이뤄져야 한다.
그간 각 언론사들은 새로운 공직자가 임명될 때마다 대상자의 도덕성과 재산형성 과정 등을 정밀 검증하는 전통을 형성해 왔으며 적격자와 부적격자를 가려내는 노력으로 우리사회에 올바른 공직자의 자세와 잣대를 제공하는 긍정적인 역할도 했다.
하지만 소위 `민주주의의 제4부'로서 이렇게 타인의 검증에 앞서 엄격한 도덕적 기준이 먼저 확립돼 있어야 할 언론사들은 정작 자신의 재산과 주식투자 내역을 밝히는 데 주저했다. 이번에 매일경제가 `사회의 공기'인 자사 지면의 상당 부분을 해명성 기사로 할애해 `장대환 대변지' 역할을 했다는 비판을 받았듯이 `정직하고 당당한 공개'보다 `의혹 감싸기'에 급급했다.
따라서 우리는 언론사 사주와 경영진, 그리고 고위간부의 재산공개는 언론의 사회적 영향력이 막대하고 고급정보를 상당 부분 독점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당연하다는 입장이다. 스스로 몸가짐을 바로 하자는 차원이다. 대부분 사기업 형태인 국내 언론사들의 재정구조는 구독·시청료보다 광고유치 등에 절대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의사결정권자인 이들의 재산과 주식현황 공개는 경영과 취재보도의 투명성을 담보하는데도 반드시 필요한 조치인 것이다.
우리 언론은 과거 정경유착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지난해 언론사 탈세사건 수사과정에서는 일부 언론사 사주들이 부외(簿外) 자금으로 수십억원대의 비자금을 조성해 써온 사실이 드러났다. 문민정부 때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낸 박관용 의원은 1996년 7월 어느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문민정부 초기 언론사주 재산공개 등의 개혁 프로그램이 있었으나 저항이 극심해 무산됐다"고 밝힌 바 있다.
우리는 이같은 점에 비춰 각 언론사가 두터운 도적적 신뢰를 바탕으로 떳떳한 비판자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조속히 재산공개 대상과 기준을 정해이를 자발적으로 실행하는 풍토를 갖춰나가길 다시 한번 촉구한다. 최근 기자협회보의 설문에서 언론사 사장단의 상당수가 재산공개에 대해 찬성의사를 나타낸 것처럼 이제는 분위기가 무르익었다고 본다. 한국방송(KBS)과 기독교방송(CBS)의 사장과 간부진이 법적 절차에 따라 또는 자발적으로 재산공개를 한 것처럼 굳이 영국과 미국이 아니더라도 국내에 이미 좋은 선례가 있다.
우리의 주장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