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4년 8월 선배기자들은 “정의와 책임에 바탕을 둔 우리들의 단결된 힘은 어떠한 권력, 어떠한 위력에도 굴치 않을 것”을 선언하며 한국기자협회를 창립했다. 2017년 8월 MBC 기자들은 “사회적 흉기로 전락한 MBC 뉴스의 더러운 마이크를 잡지 않는 길이 시청자에 대한 속죄의 시작”이라며 제작거부에 돌입했다.
저널리즘의 가치를 지키는 것은 언론인의 숙명이다. 2012년 MBC 파업은 시민의 편에서 저널리즘을 수행하겠다는 결연한 의지였다. 하지만 ‘해고 10명, 중징계 110명, 유배 157명’의 숫자가 상징하듯이 MBC 저널리즘은 처참하게 망가졌다. 김재철에서 안광한, 김장겸에 이르기까지 MBC 사장들은 그 알량한 사장직을 위해 MBC를 권력에 팔아넘겼다.
그 결과, 제작 현장에 있어야할 기자·PD는 드라마 세트와 스케이트장 관리를 하고, 아나운서들은 카메라 앞에 서지 못하고 면벽 수련을 하다 MBC를 떠나야했다. 카메라기자 65명은 정치적 성향과 파업 참여 여부 등으로 나뉘어 관리됐다. 블랙리스트는 기자들을 소고기처럼 등급만 매긴 게 아니라 실제로 가동됐다. 언론노조 MBC본부에 따르면 2012년 파업에 적극 가담하거나 노조·영상기자회 등의 집행부를 맡았던 기자들은 보도국 밖으로 밀렸고, 최고 등급은 인사 때마다 1~3단계씩 승진했다.
아이템 묵살 등 불합리한 보도 통제도 일상적으로 이뤄졌다. PD수첩의 기획 아이템 ‘한상균을 향한 두 개의 시선’ 제작 무산은 빙산의 일각이다. 세월호 참사를 축소 보도하고,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불거졌을 때 ‘최순실’ 이름을 못 쓰게 하고, 촛불집회를 왜곡했다. 그러는 사이 MBC는 ‘만나면 좋은 친구’에서 ‘안보면 좋은 친구’로 전락했다.
저널리즘의 본령을 되찾겠다며 MBC 구성원들이 펜과 마이크를 내려놓은 까닭이다. 보도국 취재기자 81명이 지난 12일부터 제작거부에 돌입했고, 전국MBC기자회도 서울로 기사 송고를 무기한 거부했다. 앞서 PD수첩 PD 10명이 제작중단을 시작한 뒤 시사제작국 기자·PD 22명, 영상기자회 소속 카메라기자 50명과 콘텐츠제작국 PD 30명이 동참하는 등 200명 가까이 뉴스·시사프로그램 제작에서 손을 뗐다. 그 와중에 사측은 대체인력을 투입하기 위한 사전 조치로 보이는 경력기자 채용 공고를 냈다.
김장겸 MBC 사장은 떠날 때를 알아야 한다. 사퇴 요구는 일부의 목소리가 아니다. MBC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2093명 중 95.4%인 1996명, 기자협회보 여론조사에서 기자들 76.5%가 물러나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기가 남은 대통령도 탄핵되는 세상 아닌가. 새로운 리더십으로 공영방송 저널리즘을 복원해야 하는 상황에서 법적 임기 운운하는 것은 구차하다. 그런데도 자유한국당은 “MBC 흔들기”로 몰아가고, 일부 언론은 이를 받아 굵직한 헤드라인으로 뽑았다. MBC 저널리즘이 처참하게 무너진 사실을 알고 있다면 “공영방송 장악 의도”라고 폄훼할 수 없는 노릇이다.
YTN 노종면·현덕수·조승호 기자가 오는 28일 복직한다. 해고, 소송 등 지난한 싸움과 버팀의 시간을 딛고 9년 만에 우리들 곁으로 돌아온다. 해직의 고통을 내 아픔으로 생각하며 지원을 아끼지 않았던 기자사회의 연대도 해직자 복직에 큰 역할을 했다. 53년 전 권력의 언론 통제 시도에 맞서 분연히 떨쳐 일어선 선배기자들처럼 우리는 다시 공영방송 정상화에 뜻과 힘을 모아야 한다.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