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외에도 '언론 길들이기' 주장에 동조하는 쪽은 최근 정황 분석을 근거로 삼는다. 우선 중앙일보가 각 언론사 및 언론·시민 단체에 배포한 자료는 언론과 정권의 긴장관계가 현 정부 출범 이래 가장 날카로운 상태로 발전해 왔다는 해석이다. 이 자료는 옷 로비 사건을 필두로 파업 유도 의혹, 김태정 전 법무장관, 손숙 전 환경부장관 2만 달러 수수, 서해 교전으로 인한 햇볕정책 비판, 금강산 관광객 억류 등 사건을 나열했다. 물론 이 자료에는 중앙일보 보도로 소송 중인 그림로비 건은 빠져 있다.
이와 함께 국정홍보처 신설, 국가정보원 언론팀 신설, 동아일보 이현락 주필 땅투기 의혹에다 홍두표 전 KBS 사장 구속, 길진현 전 중앙일보 차장 주식 내부거래, KBS 이강균 앵커 뇌물수수까지도 포함시키면 언론계에는 사정 한파 내지는 철퇴가 가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나열한 사건들의 공통점을 정권의 언론 장악 의도로 보는 것이다.
게다가 공보수석에서 언론 담당 주무 부처인 문화관광부로 자리를 옮겨 기회가 닿을 때마다 고강도 언론개혁을 부르짖는 박지원 장관에 대한 자격 시비도 한몫 한다.
중앙일보가 언론사 인사 개입의 주역으로 박 장관을 지목한 3일자 보도는 언론계에 익히 알려진 내용. 중앙일보의 지적은 곧 언론개혁을 주도할 자격이 있느냐는 물음이다.
정부기관의 설명은 다를 수밖에 없다.
원칙적으로는 비리·불법은 물론 파문을 불러일으킨 세무조사에 있어서도 언론사가 더 이상 성역이 아니란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중앙일보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정부 관할기관에는 세무조사 대상에 언론사를 더 확대해야 한다는 강성 보고서가 속속 올라온다는 게 관계자들의 말이다.
김 일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