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 4대강' 부끄러운 언론

[우리의 주장] 편집위원회

감사원이 4대강 사업이 총체적 부실에 처해있다는 2차 감사 결과를 내놨다. 4대강의 핵심인 16개 보는 모두 이런저런 문제를 갖고 있었다. 수질은 오히려 더 나빠졌다. 사업비를 낭비한 경우도 있었고 앞으로도 과다한 유지비용이 들어갈 것이라고 한다. 이 같은 문제점들은 환경단체들이 지금까지 지적해왔던 것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외면해왔을 뿐이다.

국토해양부와 환경부 등이 반박에 나섰지만 쉽게 수습이 될 것 같지 않다. 야당은 국회 청문회를 주장하고 있다. 곧 출범할 새 정권도 정부 기관조차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 4대강을 모른 채 덮고 지나갈 수는 없는 형국이다.

이명박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했던 4대강 사업이다. 22조원을 쏟아 부은 대규모 토건 프로젝트가 애초 광범위하게 선전했던 장밋빛 청사진과 달리 우리 국토의 골칫거리이자 재앙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여기서 우리 언론인들은 반성하지 않을 수 없다. 과연 4대강 사업을 제대로 검증했는지 돌아봐야 한다. 안타깝게도 긍정적으로 평가하기 어렵다. 지난 5년 동안 언론들에게 4대강은 ‘금기어’였다. 4대강 공사 현장에서 오염사고가 나도, 멸종위기종의 서식지가 유린돼도, 천주교 주교가 4대강 반대 미사를 벌이고 신부들이 릴레이 단식을 해도 기사를 쓰는 언론은 몇 되지 않았다.

2010년 8월에는 MBC PD수첩 4대강편이 김재철 사장의 지시로 결방되는 일도 있었다. 같은해 12월에는 KBS 추적60분 4대강편이 역시 상부의 지시로 결방됐다. 청와대 외압설도 나왔다.

2011년 말 한국기자협회와 전국언론노조, 한국PD연합회가 선정한 ‘언론에서 무시당한 뉴스 10’에서 4대강 부실공사는 ‘MB 측근 비리’에 이어 2위로 뽑혔다. 검증은 둘째 치고 4대강 홍보에 나선 언론들도 적지 않았다. 오히려 KBS는 4대강 통수식을 생중계하고 특집 프로그램을 만들기도 했다. 4대강 해부 프로그램 불방을 항의하는 제작진을 징계한 것은 물론이다.

지역언론을 비롯해 몇몇 언론들이 4대강 문제를 파고들었지만 역부족이었다. 정부는 4대강 비판 보도에 치밀하게 대응했다. 2011년 국정감사에서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국가기관이 중앙일간지를 상대로 언론중재위에 낸 조정신청 총 79건 가운데 국토해양부가 24건, 환경부가 22건을 차지했다. 4대강 관련 정부기관들이 조정 신청을 가장 많이 한 것이다. 그 타깃은 4대강 검증 등에 힘을 기울여온 경향신문, 한겨레 등으로 둘만 합쳐 32건의 조정신청을 받았다. 환경부는 환경단체가 4대강 사업을 비판하는 내용으로 환경부 기자실에서 열기로 했던 기자회견을 봉쇄하며 “기자실은 정부정책 홍보를 위해 존재한다”는 귀를 의심할 만한 말을 하기도 했다.

4대강의 진실은 지난 5년 동안 이렇게 은폐됐다. 언론은 왜 국민의 3분의2가 우려하고 반대했던 4대강 사업에 침묵했던가. 언론은 자의든 타의든 공범이었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다. ‘부실 4대강’은 IMF 구제금융사태를 미리 경고하지 못한 것과 더불어 한국 언론의 부끄러운 기억으로 남을 것이다. 편집위원회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