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7월 언론청문회 개최는 물건너갔다. 문제는 이런 식으로 가다간 과연 언론청문회가 열릴 수나 있을지 의문이라는 점이다. 박지원 민주통합당 원내대표의 검찰 출두로 8월 임시국회 개최에 대한 부담감은 덜었다고는 하지만 여야 정치인들에게 언론청문회는 꽤나 후순위로 밀려나는 형국이다.
국정감사가 시작되는 9월 이후 정치 일정은 상당히 빠듯해질 수밖에 없다. 여야 대통령 선거 후보자가 구체적으로 정해지면서 본격적인 대선 구도로 접어들기 때문이다. 자칫 12월 대통령 선거 전에는 언론청문회 자체가 개최되기 힘들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이유다.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은 이미 19대 국회 개원에 앞서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에서 언론 청문회를 여는 데 노력하겠다고 합의했다. 이것은 국민과의 약속이다. 하지만 최근 여야 정치인들의 움직임을 보면 그 누구도 믿을 수 없는 상황이다. 여야는 언론청문회를 여전히 언제쯤 열겠다는 시기조차 논의해보질 않았다. 온통 눈앞에 닥친 대통령 선거를 둘러싼 세력다툼과 이해관계에만 몰두할 뿐이다.
언론청문회만큼은 피해보려고 막무가내로 버티는 새누리당도 그렇지만 여러 가지 현실적인 이유를 핑계로 느슨하게 대응하는 민주통합당도 비판받아 마땅하다는 이야기가 나올 만하다.
국민들은 MB정권의 언론장악 시도와 그 결과물로 의심되는 일련의 사태에 대해 상당한 의구심을 갖고 있음을 정치권은 명심해야 한다. MBC와 KBS를 비롯한 공중파 방송사들은 물론 연합뉴스와 국민일보 등으로 번진 언론사들의 사상 유례없는 장기 파업에는 이유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여기에 언론사에 대한 낙하산 인사 논란이 끊이질 않고, 단지 공정보도를 외쳤다는 이유만으로 사상 유례없이 많은 언론인들이 무더기 해고와 징계를 당했다.
사실 언론 현장에선 파업이 여전히 끝나질 않았다고 본다. 추가 해고와 징계가 줄을 잇고, 파업 참여자에 대한 보복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 MBC사태의 방관자로 지목되는 방문진 이사진이 최근 일부 유임되는 상황이 벌어져도 정치권은 속수무책이다.
새로운 대통령을 뽑는 선거가 불과 5개월도 남지 않았다. 공정언론의 토대가 무너진 상황에서 이뤄지는 선거는 그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지 간에 커다란 후유증이 남을 수밖에 없다. 여야 모두 수긍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공정한 보도가 선거를 통해 국민의 화합을 이끌어내는 유일한 길이 될 것이다.
더이상 “개별 사업장의 노사문제”라는 주장만 되풀이하는 정부에게 맡길 수도 없을 뿐더러 정부가 풀 수 있는 문제도 아니다. 언론을 바로 세우고 언론인들을 현장으로 제자리로 되돌려놔야 할 소임은 국민이 뽑은 정치권에 있다.
그 첫 출발이 바로 언론청문회다. 국민들 앞에 해명해야 할 의혹과 현안이 너무도 많다. 이것부터 풀어야만 이번 대통령 선거 공정보도도 가능해진다.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여야는 언론청문회를 반드시 8월에 열어야 한다. 8월이 지나면 물리적으로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국민의 눈과 귀를 닫아서도 안되지만 닫을 수도 없다.
편집위원회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