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신문은 지역사회 균형발전의 근간이다. 지역사회의 다양한 정보와 의견들을 지역 주민들에게 원활하게 전달함으로써 지역사회의 합리적 여론을 도출하는 것이 지역신문의 임무요, 역할이다. 그래서 지역신문이 살아야 지방이 산다는 말이 나온다.
하지만 과연 지금의 지역신문은 그러한가. 결론부터 말하면 아니다. 상당수 지역신문이 오랜 기간 경영난에 허덕이며 본연의 임무와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혹자는 말한다. 지역신문이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지역신문의 확고한 정체성을 확립토록 하고 이를 구현하는 데 전사적인 역량을 경주할 수 있도록 제도적 차원에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이다.
분명 맞는 말이다. 하지만 현실은 절대 그렇지 못하다. 지역신문이 점점 절망 속으로 빠져들다, 경영난의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그래서 지역 신문기자들은 신문사를 살려야 한다는 이유로 어쩔 수 없이 회사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다른 무엇인가를 찾을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지금 신문시장은 극심한 양극화 현상을 빚고 있다. 전국지는 장사가 잘 되는데 지역신문은 매년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그 적자 폭은 날이 갈수록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 발표된 금융감독원 전자금융공시에 따르면 지역신문의 현실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소위 지역 대표신문들이 지난해 줄줄이 막대한 영업손실을 입었다. 신문시장이 점차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대세인 데도 불구하고 전국지는 이를 무색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지역신문은 갈수록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기업의 지역신문 광고를 찾기 힘들 정도다. 상당수 대기업들은 발행부수가 적든, 많든 모든 전국지 1면에 광고를 하지만 일부 전국지보다 발행부수가 많은 지역 대표신문에조차 광고를 주지 않고 있다. 올해부터 종편이 본격 출범할 경우 지역신문이 비집고 들어갈 광고시장은 더욱 좁아질 것이다.
정부는 1994년 지역신문이 정상적인 지역언론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지역신문발전특별법을 제정했고, 위원회도 출범시켰다.
하지만 현재의 기금규모와 운용방법으로는 지역신문의 정상 발행과 기능 수행은 요원하다. 만약 이런 현실이 장기화될 경우 지역신문 기자들의 대규모 구조조정이 우려된다. 가뜩이나 빈약한 복지 수준의 저하 등을 불러올 가능성이 농후하다. 우리가 걱정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우리는 지역신문 경영진에 보다 혁신적인 경영개선을 요구한다. 또한 경영난을 빌미로 강제로 기자들의 구조조정을 단행하거나 복지를 소홀히 하지 말기를 바란다.
정부 또한 대기업 광고의 전국지 편중 문제를 방관자적 입장에서 벗어나 이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를 곰곰이 따져 봐야 한다. 전국지들의 끼워팔기 등 변칙적이고 탈법적인 신문판매 행위에 대해 보다 적극적이고 공격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그래야만 전국지와 지역신문의 공정한 경쟁이 가능해지고, 지역신문 발전을 통해 지역 균형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편집위원회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