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한해 언론계는 그저 다사다난했다는 말로 정리하기에는 부족하다. 더욱이 아직 현재진행형인 이슈들이 우리를 감싸고 있다.
가장 먼저 기억해야 할 것은 한국 언론의 자유가 급격하게 위축됐다는 사실이다. 국경없는기자회는 지난 10월 한국의 언론자유지수를 69위로 평가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무려 22계단이 낮아진 것이며 2006년 31위였던 것에 비하면 35계단이나 추락한 것이다. MBC PD수첩 제작진과 YTN기자 체포를 시작으로 신경민, 손석희씨 등 비판적 언론인의 진행자 교체 압력 등이 군사독재 정권과 싸우며 쟁취한 언론자유를 후퇴시킨 원인이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이명박 정부의 언론관과 정책이 긴밀하게 연관돼 있다고 본다.
기축년 상반기 내내 언론계를 넘어 한국사회를 뜨겁게 달구었던 한나라당의 미디어법 국회 날치기 통과가 그 정점이라 할 수 있다. 그 여파는 신문 방송 겸영 허용으로 종편, 보도채널 등 방송사업 진출을 위한 신문사들의 사운을 건 경쟁으로 나타났다. 조·중·동을 비롯한 거의 모든 신문사들이 방송 진출에 뛰어들면서 자연히 정부에 대한 눈치보기 때문인지 비판적 논조가 현격히 줄어드는 폐단이 확연해졌다. 줄세우기를 통한 언론 길들이기라는 언론계 내외부의 목소리도 더불어 커지고 있다.
MB정부는 방송 장악에 1년 내내 노력을 경주했다. 이명박 대통령 후보의 특보를 지낸 구본홍씨를 낙하산 사장으로 임명하며 촉발된 YTN 사태를 시작으로 KBS 사장에 대통령 측근인 김인규씨가 입성하고,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를 친여인사를 중심으로 재편했다. 이는 정권이 자기들의 입맛에 맞는 방송계를 만들겠다는 분명한 의지의 실천이다.
당장 그 여파가 9시 뉴스의 연성화, 기자 대신 앵커 중심의 뉴스 제작, 비판적 프로그램의 폐지와 진보 성향 출연자의 퇴출이라는 현실로 나타났고 자유로운 방송제작 환경을 위축시키고 있다.
이런 외적인 요인 말고도 언론계 내부의 반성이 필요한 부끄러운 기억도 많은 한 해였다.
무엇보다 지난 5월 충격적으로 삶을 마감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에 언론계도 책임을 통감해야 했다. 검찰의 피의사실 사전 유포에 무비판적으로 받아쓰기 했던 그간의 관행이 전임 대통령이 비극적인 선택을 하는 데 일조했다는 각계의 비판을 통해 취재관행을 다시 바로잡아야 했다.
또한 인터넷 논객 미네르바에 대한 신동아의 사상 최악의 오보는 동아일보 1면에 사과문을 싣는 초유의 사태로 확대됐다. 철저한 확인 절차 없이 특종 욕심에 가짜 미네르바에게 놀아난 신동아의 경우는 알게 모르게 언론계 곳곳에 산재하는지 모른다.
하지만 우리는 희망을 끈을 놓고 싶지 않다. YTN 해직기자인 우장균 기자가 신임 한국기자협회장에 당선된 사실은 그 단초일 것이다.
암울한 기억이 많은 지난 한 해를 마감하며 새해에는 언론계를 둘러싼 우려와 걱정이 반복되지 않기를 기대한다.
편집위원회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