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노조 조속히 정상화되어야 한다

지난 7일 열린 전국언론노동조합 4대 위원장, 부위원장 보궐선거에서 최상재, 김순기 후보가 당선되면서 언론노조의 새로운 집행부가 꾸려졌다. 이로써 사무처 직원의 공금횡령 의혹에서 출발해 올들어 6개월 넘게 파행 운영을 해왔던 언론노조가 비로소 정상화의 길을 갈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을 마련한 셈이다.

사실 언론노조의 파행적 운영은 언론노조 자체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에도 큰 손실이었다. 최근 국회에 제출된 한미FTA 비준 동의안을 비롯해 1백일 앞으로 다가온 대선, 지난 7월부터 시행에 들어간 비정규직 관련법, 현 정부의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 등 향후 몇 년 간 우리 사회의 운명을 좌우할 중대한 현안을 놓고 언론노조가 모든 활동을 중단한 꼴이 되었다. 한마디로 우리 사회에서 언론 노동자로서, 또 언론 노동자이기에 목소리를 내야할 중요한 시점에 그 창구가 개점휴업 상태에 들어간 셈이었다.

그런 만큼 새 집행부에 거는 기대와 극복해야할 과제의 무게 또한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무거우리라 생각한다. 새 집행부에게는 무엇보다 언론노조의 대외적 신뢰도를 제고하는 노력이 시급하다. 공금횡령 의혹에서 시작된 내부 문제가 검찰수사와 이를 둘러싼 내분양상으로 이어지면서 언론노조의 대외적 신뢰도가 급전직하로 떨어진 상황을 직시하고 이 문제 해결에 최우선권을 두어야 할 것이다.

한때 노동자 투쟁의 상징처럼 돼 있던 현대자동차 노조에서 조합 간부의 비리가 드러나면서 대외적 신뢰도가 떨어지고 잇따른 노조활동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는 작금의 상황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노조의 가장 강한 힘이자 투쟁의 무기는 바로 조합원과 노조를 바라보는 일반 국민들의 신뢰 밖에 없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새 집행부에게는 또 언론노조의 통합이라는 중대한 과제가 놓여 있다. 신임 집행부를 뽑는 이번 선거에서 18개 본부와 지부에서 선거 거부를 선언한 점은 그 이유와 절차를 불문하고 무시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들이 언론노조를 분할하거나 이탈하려는 것이 아닌 한 선거를 통해 정통성을 확보한 새 집행부가 이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방안을 앞장서서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번 선거에 불참했던 KBS 본부를 비롯해 18개 본부와 지부도 민주적 의사소통을 위한 합리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들의 선거 보이콧에도 불구하고 새 집행부는 59.9%의 투표율에, 96.2%라는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 절대적 지지율로 환산하더라도 전체 대의원 2백22명 가운데 절반이 넘는 1백28명의 찬성을 받은 것이다.

따라서 자신들과 주장이 다르다 하더라도 선거라는 민주적 절차에 따라 정통성을 확보한 새 집행부를 인정하고 언론노조 내부에서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일부 본부와 지부에서 이번에 언론노조를 장악하거나 분할하려는 한다는 일각의 의구심이 단순한 기우에 그치기를 바란다.

언론노조의 새 집행부가 이같은 조직정비 사업을 제대로 하기도 전에 그 앞에는 대선과 총선, 한미 FTA, 비정규직 문제 등 시급히 대응해야 될 과제가 수북이 쌓여 있다. 하지만 생각하는 관점에 따라서는 조직정비 사업과 당면 현안이 분리될 수 없고 함께 가야할 문제인 만큼 새 집행부의 적극적이고 도전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사실상 새 집행부가 얼마나 이르게 대내외적 신뢰도를 회복할 수 있느냐 하는 중요한 시험무대에 진입한 것이다. 편집위원회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