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자 또 불발··· 노조 "장 회장 퇴진" 요구

장 회장 30억만 증자...나머지 6월9일까지 연기 요청

한국일보 장재구 회장이 스스로 약속한 증자약속이 또 불발되자 노조(위원장 임대호)가 회장의 퇴진을 요구하고 나섰다.



장 회장은 지난달 31일 약속한 1백25억 중 30억원만을 증자하고 채권단에는 창간기념일인 6월9일 까지 증자시한을 연기해 달라고 요청했다.



증자 마감시한을 앞두고 ‘장 회장이 부도를 막을 수준의 최소한의 액수만 들여 올 것’이라는 예상이 한국일보 주변에 퍼졌으나 내부 구성원들의 허탈감은 이미 사측에 대한 신뢰감을 크게 상실한 상태다. 현재 장 회장은 채권단과 추가증자를 조건으로 2002년에 작성한 양해각서(MOU)에 대한 수정을 요구하며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장 회장이 1백25억원을 증자했을 경우 한국의 총부채는 2천7백여억 중에서 8백여억원이 전환사채(CB)로 발행이 되고 실제 부채액수는 약 1천7백억원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었다.



장 회장측은 채권이자율 3∼5%, CB발행부분 무이자 처리라는 기존의 MOU를 이자율을 1∼2%정도로 낮추고 전환사채 발행액수도 큰 폭으로 늘려야만 구체적인 회생방안 마련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한 사측 관계자는 “장 회장 입장에서는 증자를 마치면 요구조건을 들어 보겠다는 채권단의 말을 그대로 믿기도 힘든 상태”라며 “그 동안 투입한 돈으로 알 수 있듯이 증자를 한다는 원칙에는 변함이 없으나 회사를 위한 가장 좋은 조건을 기다리는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편집국 기자들로 구성된 비대위는 완전증자가 불발로 끝나자 장 회장 앞으로 내용증명 우편까지 보냈다.



비대위는 현재 미주한국일보가 무상으로 사용하는 콘텐츠문제를 5일까지 시한을 주고 ‘합당한 조치’를 내려줄 것을 요구했다. 비대위는 만약 이에 대한 반응이나 대안이 없을 경우 “오는 7일부터 기사공급을 중단할 것”이라는 단호한 입장이다.



한 기자는 “뉴미디어 시대를 맞아 각 사가 변신하고 살아남기 위해 애 쓰는 마당에 한국은 부채와 불투명한 사슬에 묶여 수렁에 잠긴 상태”라며 “사주가 사원의 반만큼이라도 신문과 앞날의 비전에 대해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조도 31일 증자액수가 30억으로 밝혀진 직 후 “완전증자 불발, 장재구 회장은 모든 책임을 지고 퇴진하라”는 제목의 성명을 냈다.



노조는 “장 회장은 경영일선에서 즉각 퇴진하라”고 요구했고 채권단에 대해서도 “증자 조기이행을 강제하고 더 이상의 무책임한 돈 놀음을 중지할 것과 한국일보 회생을 위해 적극적 자금집행을 할 것”도 요구했다.


손봉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