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바뀌면서 '권력과 결탁' 잇단 노출

낡은 관행 벗어나 기자 윤리 확립해야

도대체 왜 최근 들어 사회적 의혹 사건마다 기자 개입이 거론되는가? 해결책은

무엇인가?



문일현 전 중앙일보 차장과 이도준 평화방송 기자가 연루된 언론 문건 파동 이후

'옷로비' 수사에서도 사직동팀 문건 전달자로 현직 언론사 부장이 거론되자 한

언론사 간부는 "왜 이렇게 사안마다 기자들이 거론되는지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또다른 언론사 간부는 "현재 이번 의혹이 사실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큰 사건에 잇달아 기자 개입이 거론되는 현상 자체를 언론계는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언론학)는 "이번 의혹의 사실 여부를 떠나, 그 동안 언론은

힘 있는 자들과 온갖 형태로 결탁하여 왔지만 사회가 이를 감시할 수 없어

드러나지 않았다. 하지만 세상이 달라지면서 결탁이 하나둘씩 드러나는 형국"고

말했다. "기자의 행태가 과거보다 더 나빠졌다기보다 사회는 발전하고 조금씩

투명해지는데, 많은 기자들이 아직도 구태를 벗지 못하다 보니 차츰 간극이

벌어지다가 한계점에 달해 불거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 언론사 기자는 "사실 기자와 취재원 간 유착 문제가 어제오늘 일은 아니지

않은가"라고 반문하며 "크게 보면 사회적으로 영향력 있는 개인이나 집단이

이너서클을 형성, 이익집단화 하는 과정에서 몇몇 기자들도 여기에 편입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근 들어 불거지고 있을 뿐 관행이라는 '팩트' 자체는

달라진 것이 없다는 지적이다.



그래서 이번의 논란은 다시 기자의 윤리 문제로 귀결된다.

한 언론사 간부는 "이번 문건 전달 의혹이 사실이라면 동기 면에서 순수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어떻게든 정치적인 계산이 깔려있는 행위라는 것이다.

주동황 광운대 교수(언론학)는 "누구에게 도움을 주거나 피해를 끼치겠다는

정치적인 목적이 다분해 보인다"면서 "이같은 '권력의식'이 기자들에게 만연해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문제는 흔들리는 기자윤리가 권언유착의

계기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주 교수는 "어차피 언론에 대한 간섭은 권력의

속성이다.일차적인문제는 이에 맞서는 언론-기자들의 윤리 정립"이라고

강조했다.


김상철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