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형 잃은 제주평화축전 보도

행사에는 무관심, 갈등 빚자 북측에 '돈타령' 화살

지난달 23일부터 27일까지 제주에서 열린 민족평화축전과 관련 언론이 행사 자체에는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다가 개런티를 둘러싸고 남북이 갈등을 빚자 ‘돈타령’ ‘뒷거래’ 운운하며 남북교류 자체에 제동을 걸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번 평화축전은 분단 이후 첫 민간교류행사라는 의미에도 불과하고 언론에서는 거의 보도가 되지 않았다. 개막식과 폐막식 그리고 남북여자축구, 이봉주?함봉실선수의 하프마라톤 참가 등이 ‘봉봉남매’라는 제목으로 스포츠면 등에 간략하게 보도됐을 뿐이다. 그러다가 언론은 지난달 28일 중앙일보가 1면에 ‘제주축전 개런티 시비/북 평양귀환 지연소동’이라는 제목으로 개런티를 둘러싼 남북 조직위간의 갈등을 첫 보도하자 다음날 ‘남북 행사 언론까지 돈타령인가’(동아), ‘북은 민간 축전에도 출연료 받나’(조선), ‘통일축전에 돈 잡음이라니’(국민), ‘꼴불견 남북 개런티 논란’(한국) 등 기사와 사설을 통해 북측의 주장을 ‘돈타령’ ‘떼쓰기’ ‘행패에 가까운 언사’라며 몰아세웠다. “남쪽에 내려와 융숭한 대접을 받고는 돌아갈 때 돈을 더 내놓으라고 떼를 쓰는 북측의 모습이 보기 민망”(동아), “행패에 가까운 위협적 언사로 남측을 윽박질렀다니 참으로 황당”(국민) “평양 귀환을 7시간 늦췄다는 소식에 국민들은 다시 한번 착잡”(조선)하다는 것이다. 이들 신문은 나아가 “비정상적인 남북교류는 이쯤에서 끝내야 옳다”(동아) “남북간 교류의 양이 많을수록 남북간 이해의 질이 깊어진다는 단순한 도식은 착각”(조선) “이런 식의 교류는 당장 청산해야 한다”(국민)며 남북교류 자체에 제동을 거는 보도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물론 이번 개런티 시비는 북측이 참가단 규모를 당초 400명에서 취주악단과 예술단을 제외한 190명으로 줄이는 바람에 발생한 측면이 컸다. 그러나 외국유명 인사나 단체를 초청할 때도 개런티를 지급하는 것이 관례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를 ‘돈타령’, ‘뒷거래’, ‘외화벌이 수단’이라고 비난하는 것은 지나쳤다는 지적이다. 또 평양의 기상 악화로 비행기 출발이 지연된 측면이 큼에도 불구하고 마치 돈을 달라며 7시간 동안 시위를 벌인 것처럼 보도한 것은 명백한 사실왜곡이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 남측조직위는 지난 3일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에 정정보도를 요청했다.

박미영 기자 [email protected]
박미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