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관련 보도 집단린치 수준"

언론노조 노동기사 집중 모니터…민노총 홈페이지에도 게재

최근 일간신문의 노동관련 보도가 “상식을 넘어 집단린치 수준에 이르고 있다”며 전국언론노조(위원장 신학림)가 지난 7월 28일부터 노동기사에 대한 집중 모니터에 들어갔다. 지난 18일 2차 보고서를 발간한 언론노조는 이를 언론노조 홈페이지 뿐 아니라 민주노총 홈페이지에도 게재하고 있다.

언론노조는 현대자동차 노사협상 보도와 관련 ‘노조 때리기’라고 포문을 열었다. 7월 28일자 조선일보 사설 ‘현대차 노조의 자해행위’에서 “평균임금이 5400만원인 대기업 노조의 배부른 투쟁”이라고 보도한 것과 관련 “평균임금 5400만원은 휴가를 거의 사용하지 않은 노동자에게만 해당된다”며 “대다수 신문이 연봉 6000만원을 받고 166일을 쉬는 것처럼 보도했으나 이는 결코 양립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또 같은 날 동아일보 사설에서 “주5일 근무제는 노사정이 협상을 진행중인 사안으로 단위 사업장의 파업 명분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이같은 논리는 노동법 어디에도 없다. 실제 언론사 중에도 지난해 노사정 협상과 상관없이 주5일제 도입을 노사협상 때 다뤄 합의한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언론노조는 ‘주5일 근무제’ 관련 보도에 대해서도 언론이 균형을 맞추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매일경제의 경우 “주5일제가 법제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별 기업의 노사가 주5일제를 합의하는 게 문제라는 시각까지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9일자 조선일보가 “중학교 사교육비, 즉 과외비까지 회사에서 보조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며 노조의 요구를 무리하다고 비판한 것과 관련해서도 “조선일보 노조 역시 지난 6월 23일자 노보를 통해 유아보육비·초중생 학원비 지원을 요구했다”고 반박했다.

언론노조는 또 언론이 여론조사 결과도 기업에 유리한 것만 입맛대로 골라 쓴다고 비판했다. 중앙일보가 7월 29일자 노동계 쟁점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보도에서 기업에 유리한 “당분간 파업 자제해야 82%”를 제목으로 뽑은 반면, “근로자 경영참여 찬성 82.5%”라는 결과는 제목과 본문 어디에도 보도하지 않았다는 것. 또 동아일보의 “한국사회 반기업 정서 심하다”는 설문조사 결과 보도 역시 “반기업 정서를 극복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기업 스스로 투명성을 높이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라는 응답이 50.9%로 가장 많았는데도 불구하고 조사 결과를 자의적으로 해석,‘노동자가 문제라서 기업하기 어렵다’는 식으로 보도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정호 언론노조 정책국장은 “과거에는 파업이 일어나야 달려들어 노조를 비판하던 언론들이 이제는 일상적으로 노조와 노동자들을 매도하고 있다. 조선일보 등 일부에서 의제화 시키면 다른 신문들이 모두 따라가는 형국”이라며 “상당부분은 노동법 체계조차 모르고 하는 비판들이 많다”고 꼬집었다.

박미영 기자 [email protected] 박미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