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이 바라본 타사보도의 문제점> '당신들도 편파적이긴 마찬가지'
홍사장 처벌 수용태세는 왜 외면하나
"구속은 구속대로, 언론탄압은 탄압대로 다뤄야 한다."
중앙일보에서 지적하는 홍석현 사장 구속을 둘러싼 언론보도의 '문제점'이다. 이러한 지적은 당연히 이번 사안의 성격 규정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는 데서 비롯된다.
먼저 비대위의 한 관계자는 "중앙일보의 대응은 '홍 사장 구속은 별개다. 법정에서 죄가 밝혀진다면 처벌받아야 한다'는 전제에서 시작한다"고 강조했다. 외부 보도에는 이러한 전제가 반영되지 않고 사주를 살리기 위해 정부 방침에 반발하는 것으로 몰아가고 있다는 지적이다.
같은 맥락에서 정부의 정당한 법 집행과 언론탄압 가운데 중앙일보가 사안의 본질로 규정하고 있는 탄압 양상이 제대로 부각되지 않는다는 불만도 제기된다. 중앙일보는 "사태의 시발은 홍 사장 구속이지만 더 중요한 것은 그것이 언론탄압으로 이어지는 배경"이라며 "중앙일보 시리즈를 통해 언론탄압 실상을 드러냈음에도 불구하고 보도에는 그러한 정부 행태가 반영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누가 언론탄압을 말하는가'라는 자격론엔 '누가 자신있게 돌을 던질 수 있는가'라고 되묻는다.
비대위의 한 관계자는 "대선 때의 편파보도 문제도 인정했다. 그러나 당시 다른 신문들은 특정후보에 우호적이거나 비판적이지 않았던가" 반문하며 "정도의 차이야 있겠지만 그동안 어느 언론사도 당당하게 언론자유를 지켜왔다고 내세울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 기자는 "노조에서도 지난해 정부의 인사압력 실상을 폭로한 바 있다"고 강조하며 "지금 상황에서 언론탄압이나 언론자유를 말할 자격도 능력도 없다고 한다면 그냥 폐간하라는 말이냐"며 불만을 표했다.
비대위는 "앞으로 기자 개개인이 언론의 정도를 고민하며 지면으로 반성하는 모습을 보여낼 것"이라며 "이번 사건을 모든 언론의 반성과 언론발전으로 승화시키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상철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