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주장] 올바른 정언관계 되길

정부와 중앙일보 모두 정정당당하길 바란다

홍석현 사장의 구속을 둘러싸고 벌어진 일련의 모습들은 한국 언론의 미래에 대한 희망의 빛을 던진다.



80년대 말 언론 자유화 이후 한국의 신문들이 점차 비대화하여 몇몇 신문들은 무소불위로 행세해 왔고 사주들은 성역이 되었다. 정권은 이들과 결탁 관계를 형성하여 서로 비호하여 왔다. 따라서 정부가 중앙일보라는 대신문사 사주의 개인 비리를 과감히 밝혀내고 구속까지 시킨 것은 분명히 희망의 빛이 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중앙일보는 그 동안 정권의 압력을 떳떳이 밝히지 못하고 때로는 이를 받아들이기도 했던 자세를 반성하고 과거에 있었던 언론 통제 사례를 낱낱이 공개하였다. 이 또한 쉬쉬하며 정권과 뒷거래하는 짓을 더 이상 하지 않겠다는 것이기에 긍정적이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편집국장 임명동의제를 부활시키는 등 편집권 강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점은 강렬한 희망의 빛이다.



하지만 먹구름의 조짐도 만만치 않다. 홍 사장에 대한 이번 조치는 언론의 정권 감시를 약화시키고 다가올 총선에서 편들기를 부추기는 쪽으로 작용할 수 있다. 불행히도 최근 드러난 정권의 언론 간섭 사례들은 이러한 우려를 뒷받침한다. 더구나 언론 통제 시비가 있을 때마다 빠지지 않는 정부 관계자의 행태는 언론 탄압이라는 중앙의 주장에 설득력을 보탠다.



중앙일보도 정권과 일전을 불사하는 자세를 보이지만, 힘이 분출되는 모습들이 볼썽 사나운 경우가 많다. 당장 검찰청사 앞의 '사장님 힘내세요' 행렬이나 탄압을 강조하기 위한 아전인수적인 글로 뒤덮인 지면이 그렇다. 이러한 모습들은 언론 탄압이라는 주장이나 언론의 정도를 걷겠다는 다짐이 진정으로 올바른 언론상을 갈구한 결과인지 사실은 사주의 품에서 안정적이던 시절을 그리워하면서 사적 이해관계의 훼손에 분노한 결과인지 혼란스럽게 한다.



정부의 홍 사장 구속이 정당성을 얻기 위해서는 홍 사장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언론 권력의 비리에 대해서도 홍 사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철저한 조사와 조치를 취해야 한다. 또한 정부는 사주의 전횡에서 비롯된 언론의 횡포에 개별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소유구조의 개선 등 제도적 개혁을 통해 바로잡도록 해야 한다. 게다가 정권은 언제까지 일부 관계자의 행태로 언론 탄압 시비를 자초할 것인가.



사주의 비리에 대한 사회의 비난과 고용 사장 아래 다시 눈치보기식 지면을만들위험에 직면한 중앙 기자들의 고뇌는 충분히 이해한다. 하지만 기존의 중앙일보 통제 구조로는 기자들이 주장하는 독립 언론으로 결코 갈 수 없다. 그저 종속적 기득권이나 누릴 뿐이다. 그렇다면 지금이 오히려 기회이기도 하다. 이번을 계기로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고 철저한 편집권 독립을 실현한다면 진정 최고의 신문이 될 것이다. 중앙의 기자들이 문제에 합리적으로 접근하여 위기를 기회로 만들길 진정으로 바란다.




편집국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