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은 시간은 단 하루다. 그 시간 안에 원포인트 임시회를 열어 지원 폐지 조례의 시행을 막아달라. TBS가 다시 시민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는 퇴로를 차단하지 말라.”
이틀 뒤면 서울시의 예산 지원 근거가 사라져 사실상 폐국 위기에 내몰리는 운명 앞에서 250여 TBS 구성원들이 서울시와 시의회를 향해 마지막 호소를 전했다. 이들은 30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TBS 지원 폐지 조례가 시행되는 6월1일은 “TBS의 숨통이 끊어지는 날”이라며 그 전에 원포인트 임시회를 열어 파국만은 막아달라고 호소했다.
TBS 양대 노조(TBS노동조합·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는 기자회견문에서 “6월이면 인건비는 물론 방송통신시설 운영을 위한 전기료조차 낼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자본금 단돈 백만 원, 상업광고조차 허용 안 되는 TBS에게 지원 조례 폐지는 문을 닫으라는 것과 다름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정환 TBS노조 위원장은 “34년간 이어져 왔던 공영방송 TBS가, 직원 250여명의 일터이자 삶의 터전이 사라질 위기가 코앞에 와 있다”며 “대책 없이 시간이 흘러가면 TBS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말 것”이라고 탄식했다.
송지연 TBS지부장은 ‘서울시 같은 큰 조직을 운영하다 보면 하나쯤 없어질 수도 있다’, ‘유튜브가 있는데 성과도 안 나는 방송국을 유지해서 뭐 하냐’는 국민의힘 시의원 발언을 언급하며 이번 일이 TBS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송 지부장은 “TBS의 위기는 우리 모두의 위기이고 언론 치욕의 역사로 남을 것”이라며 “TBS 존폐를 내부 일로 생각하지 말고, 언론을 보복의 대상으로 인식해 돈줄을 끊고 개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권력의 남용을 방관하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서울시와 시의회는 34년 역사에 독립 재단법인으로 출범한 지 4년밖에 안 된 TBS에 대한 돈줄을 끊었을 뿐 아니라 공공돌봄 기관으로 설립된 서울시사회서비스원도 지난 4월 사실상 폐원 결정을 내렸다. 2016년 ‘구의역 김군’ 사고 이후 안전업무직 노동자들을 정규직화했던 서울교통공사는 인력 감축 등 구조조정을 시도하며 다시 ‘위험의 외주화’로 내닫고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 서울시 출자출연기관, 서울지역 공공기관 노동조합 대표자들이 연대해 오세훈 시장 취임 이후 이어진 공공성 훼손에 목소리를 높인 이유다.
조요한 서울기술연구원 노조 위원장은 “TBS는 서울시 출연기관이면서 언론재단이란 두 가지 성격을 가진 서울시의 소중한 자산”이라며 “충분한 숙의 없이 정치 논리로 없애는 게 옳은 일이냐”고 물었다. 이어 “국민의힘이 밀어붙이는 TBS 고사 정책은 서울시민을 넘어 국민에 영향을 미칠 중대한 사안”이라며 “이 정권은 유한하지만, 서울시민을 위한 공공복리는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원 중단은 사실상 해고, 해고는 살인이다”
언론노조와 지·본부에서도 연대 발언으로 힘을 보탰다. 이호찬 언론노조 MBC본부장은 “마치 TBS가 자신들의 사유물인 양 시장과 시의회가 알량한 권력에 취해 시민은 안중에도 없고 TBS 내부 구성원들에 대한 최소한의 존중과 예의도 찾아볼 수 없다”며 “시민의 뜻이 TBS 폐국이고 구성원들을 길거리로 내모는 것이냐”고 따졌다.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은 발언에 앞서 TBS 지원 폐지 조례안을 공동 발의한 국민의힘 시의원 76명의 이름을 일일이 호명했다. 그러면서 “폐지 조례를 철회하고 시민의 권리를 회복하기 전까진 이들을 범죄자로 명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겉모습은 지원 조례 폐지이지만 내용은 해고”라면서 “해고는 살인이며 저들이 행하는 건 공공영역 노동자를 파리 목숨 취급하는 살인이란 범죄에 다름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시민이 부여한 권리로 시민과 노동자의 목을 치겠다는 배신의 정치에 대해 우리는 주권을 회수해야 한다”면서 “저들이 우리의 밥그릇과 생존권, 우리 노동의 권리를 보장하지 않는다면 우리도 저들의 정치생명을 끊어버리자”라고 밝혔다.
김고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