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전기 '7월 셧다운' 서울신문, 인력 재배치·고용 승계 막판 협의

창간 120돌을 맞는 7월부터 윤전기 ‘셧다운’ 방침을 정한 서울신문이 제작·유통 인력의 재배치 등을 두고 막판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노조는 회사가 제시한 고용 승계 방안과 희망퇴직 시행안 등을 두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 중인데, 회사의 ‘잔칫날’이 일부 구성원들에게는 ‘구조조정’의 날이 된다는 허탈감도 읽힌다.

취재에 의하면 서울신문 사측은 8일 노조에 △업무 전환 배치 △호반그룹 계열사 채용 △대쇄처인 중앙일보 채용 △희망퇴직 등의 안과 가능한 조건을 전달했다. 신문 제작·유통 쪽 인력은 올 연말 기준 37명인데, 이들 중 희망자에 한해 중앙일보 쪽으로 옮겨 인쇄 업무를 계속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호반 계열사로 채용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신문 내 전직 배치는 10명까지, 중앙 쪽에서 채용이 가능한 인력은 최대 7명이고, 호반 계열사는 4명으로 알려졌다. 전직과 이직 모두 원치 않을 경우 남는 선택지는 희망퇴직이다. 서울신문은 정년까지 남은 개월 수의 40%, 최대 30개월치에 해당하는 급여를 희망퇴직금으로 지급하겠다고 했다. 노조는 사측 안에 대해 해당 조합원들의 의견을 물어 이직, 퇴직 등의 수요를 파악하고 수정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지난달 대쇄 방침이 공식화되자 강하게 반발하며 관련 계획 철회를 요구했던 노조와 제작국 인력 등은 회사의 결정을 돌이킬 수 없음을 일정 부분 받아들인 분위기다. 이미 2년 전 프레스센터 재건축이 추진됐을 때부터 윤전기 셧다운은 예정돼 있었기 때문이다. 다만 재건축보다 대쇄가 먼저 추진되고, 그 계획이 불과 4개월여 전에 알려진 것에 대한 문제제기는 여전히 유효하다. 창간기념일과 때를 맞춰 윤전기를 폐쇄한다는 점 또한 그렇다. 서울신문 신문유통팀 일동은 지난달 14일 사내망에 올린 글에서 “잔칫날에 맞춰 대쇄를 통해 사원을 정리하겠다는 이 기괴한 발상은 도대체 누가 생각해냈는지 기가 막힐 따름”이라고 했다.


서울신문측은 어떻게든 제작국 인력의 고용을 유지·승계하려 한 만큼 “인위적 구조조정이 아니”라고 했지만, 내부엔 여전히 “낮은 형태의 구조조정”이라 보는 시각들이 있다. 제작국 한 관계자는 “계속 찍을 수 없다는 걸 한편으로 이해는 하는데, 올해 2월만 해도 2년짜리 인쇄 계약을 해놓고 갑자기 3월에 셧다운을 하겠다는 것이나, 너무 준비 없이 하는 점은 납득이 안 간다”고 말했다.

김고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