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호남 지역보도준칙 무산위기

시민단체 주도로··· 기자들은 실효성에 의문제기

언론개혁광주시민연대(상임대표 지남철·광주언개연)와 언론개혁부산시민연대(공동대표 배다지·부산언개연)가 주축이 돼 7월부터 추진해 온 '지역문제 보도준칙' 제정 시도가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했다.



광주언개연과 부산언개연은 7월 22·23일 전남 구례에 위치한 지리산 플라자에서 '지역주의적 언론보도의 개선방안 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에는 영·호남의 시민단체 관계자들과 기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광주언개연은 이자리에서 ▷사주로부터 편집권 독립 ▷편집기자 실명제 ▷공인의 인사 관련 보도에 출신지에 관한 내용의 비중 줄일 것 ▷여론조사는 내부 심의기구의 사전심의를 거쳐 보도 ▷영·호남 언론사의 상대방 지역에 주재기자 배치와 프로그램·기사 교환 등 언론이 노력할 내용 22가지와 ▷지역감정 조장하는 정치인이나 언론인을 감시·고발하는 제도 시행 등 시민단체의 역할 3가지를 명시한 '지역문제 보도준칙' 시안을 제시했다.



협회장이 토론회에 참석한 광주, 전북 기자협회에서는 따로 수정안을 내지 않고 시안에 동의했으나 '젊은 기자'들이 주로 참석한 경남, 부산, 대구·경북 기자협회는 운영위원회 등을 통해 수정안을 제출하기로 했다. 그러나 9월까지 영남 지역 기자협회에서는 수정안을 제출하지 않아 지역보도준칙 제정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영남지역의 한 기자협회 관계자는 "따로 '준칙'을 마련하지 않아도 이미 각종 윤리강령이 충분히 있다. 또 지역감정만을 따로 떼어 규칙을 제정하는 것은 가시적 효과보다는 대외 과시용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운영위를 열어 논의하려고 했으나 다들 바빠 차일피일 미루게 됐다"며 "내년에 총선이 예정돼 있는 상황에서 졸속으로 만드는 것보다는 차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 언론운동단체 관계자는 "지역보도 준칙 제정은 영호남 언론계의 화합이라는 상징적인 측면과 내년 총선을 앞두고 지역감정의 망령이 되살아나는 것을 막자는 현실적 요구에서 추진한 것"이라며 "시민단체가 주도하면서 잘못한 부분들이 많았음을 인정하지만 일부의 무관심에는 섭섭한 생각이 앞선다"고 말했다. 김경태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