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사선 '원칙 찬성하지만 보완 여지 많아'

엠바고 출입처별 반응

문화일보의 문제제기로 도마 위에 오른 엠바고에 관해 타사 기자들은 원칙적으로 찬성하지만 보완할 부분도 많다고 지적한다.



유럽특파원을 지낸 KBS의 한 간부는 "당연히 없어져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한 뒤 현실적인 우려사항을 들었다. "선진국, 특히 권위 있는 언론사의 기자들은 국익을 침해할 우려가 있는 사안에 대해선 별도의 엠바고가 없어도 기사화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 기자들이 어디 그런가. 대외협상에서 전략이 노출될 우려가 있는데도 마구잡이로 써대지 않는가." 경향신문 경제부의 한 기자도 비슷한 생각이다. "기업 자금난이 기사화되면 실제 문제보다 확대돼 심각한 타격을 입히는 사례가 왕왕 있다"며 "정부부처 구조조정 당시 엠바고를 걸었어도 작문성 보도로 피해를 겪은 곳이 발생했는데 이 정도마저 통제가 안된다면 극심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제도 운영의 개선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 SBS 한 간부처럼 "언론사와 기자들이 무슨 기준으로 국익 침해 여부를 가늠하느냐, 엠바고는 있어야 한다"는 입장도 있다.



업계 출입하는 중앙일보 기자는 문화일보의 문제제기에 냉소적이다. "단순히 엠바고 몇 개 배정 받고 흐지부지 끝날지도 모른다. 여파를 아직 지켜봐야 할 것 같다. 하지만 엠바고의 부작용은 충분히 인정한다. 하다 못해 기업체에서도 보도자료를 뿌리며 엠바고 요청하는 상황이니&. 기자들이 자초한 풍토지만 개선해 가야 할 것이다."



연합뉴스의 한 내근 기자는 "엠바고 거부를 환영하지만 우리로서는 아직은 신중할 때"라면서 "신문사들이 고객사이고 주주사이고, 조간 대 석간의 구도가 있다 보니 회사 입장에선 쉽게 동참하기 어려울 것"으로 관망했다.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연합뉴스 고위 간부의 기대섞인 말이다. "꼭 개별사 이해에서 출발한 문제로 격하시킬 필요는 없다. 엠바고는 언젠가 언론계에서 꼭 한번 짚어야 할 문제였다. 올바른 방향으로 이어진다면 점진적인 내부개선으로 확대되지 않겠는가." 편집국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