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실 둘러싼 갈등…해법 없나

실력행사로 해결 안된다

기자단-공직협 충분한 사전협의로 접점 모색해야





공무원직장협의회가 최근 들어 기자실에 대한 강제폐쇄 조치를 강행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기자들이 소송을 제기하고 나서는 등 곳곳에서 물리적인 충돌이 벌어지고 있다. 무조건 실력행사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기보다는 충분한 사전 협의를 통해 기자실에 대한 순기능을 살린 접점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기자들과 공직협의 충돌은 최근 전국 곳곳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미 시군구 단위에서는 지난해부터 상당수 기자실이 폐쇄됐으며 일부 브리핑룸으로 전환된 사례도 많다. 이 가운데 일부 지역에서는 기자들이 기자실을 자진 반납하고 외부에 별도의 프레스룸을 만들면서 충돌을 피한 경우도 있었으나 상당수 지역에서는 감정적 대립을 겪었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지방지 기자들만 상주하고 있는 시군구 단위 뿐 아니라 중앙지 기자들이 함께 상주하고 있는 인천과 울산시청, 경남도청 등 광역시나 도청으로까지 기자실 폐쇄 문제가 확산되면서 첨예한 대립 양상을 보이고 있다.

기자실을 둘러싼 이같은 공무원들과 기자들의 갈등은 기본적으로 기자실에 대한 기본 인식 차이에서 출발하고 있다. 인천시청 공직협은 시청 기자실 운영비로 사무실 임대료, 기자실 근무직원 인건비, 사무실 집기 외에도 신문구독료, 정기간행물, 전화요금, 해외여행경비 등 2000년 1억9600만원, 2001년 2억5320만원 등 매년 최소 2억원 이상의 혈세가 낭비되고 있다며 “기자실을 없애고 개방형 브리핑룸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특히 인천시청 공직협의 한 관계자는 “기자실에 등록되지 않은 다른 기자들의 출입을 막거나 기자들이 시 행정 및 인사에까지 개입하고, 시청주변 식당에서 시 이름을 달아놓고 밥을 먹는 행위를 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인천시청을 출입하는 한 중앙일간지 기자는 “그동안 기자들이 상주하고 감시역할을 하면서 시정이 많이 깨끗해졌고, 시민단체나 각종 기관에서 수시로 기자실에 와 기자회견을 하는 등 기자실의 순기능도 많다”며 “기자들이 상주할 수 없는 브리핑룸으로 전환했을 경우 취재에 많은 제약이 따르고 국민들의 알권리는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브리핑룸에 대한 기자들의 의견은 다소 엇갈린다. 특히 각 지방에 지역사무실이 없는 중앙지 기자들은 기자실이 없어질 경우회사에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해주지 않는 한 취재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는 게 현실이다.

그러나 기자들 역시 기자실 운영을 일부 개선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다. 통영시청의 한 출입기자는 “어쨌든 시민 혈세를 쓰지 말라는 주장과 개방적으로 활용하자는 주장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동의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미영 기자 [email protected] 박미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