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은 자사의 이익을 기준으로 뉴스연결방식(인링크, 아웃링크)에 대한 입장을 달리한다. 영향력이 큰 언론은 아웃링크 방식으로 전환할 것을 요구하지만, 발행부수가 적은 종이신문과 인터넷언론은 전재료를 받고 인링크로 남기를 원한다. 네이버는 뉴스가 이용자 유입을 꼬드기는 유용한 ‘미끼’라는 전략을 포기할 의향이 없다. 모바일 첫 화면에서 뉴스와 실시간 검색어를 삭제하지만 두 번째 화면에서 ‘뉴스판’과 ‘뉴스피드판’을 운영하고 뉴스 댓글 정책도 해당 뉴스를 제공하는 매체가 결정한다는 대책이 이를 반증한다.
새로운 댓글 정책이 네이버 공간에서 댓글 조작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겠지만, ‘뉴스판’과 ‘뉴스피드판’ 운영은 사회 통합에 역행하는 조치일 수 있다. 가령, 네이버의 공식블로그(다이어리)는 채널뉴스 이용자들이 주로 유사한 성격의 매체를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한다. 언론사가 직접 편집한 뉴스를 제공하므로 특정 이슈에 대한 다양한 언론의 평가와 해석에 노출될 기회를 이용자가 자발적으로 차단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매체 신뢰도와 충성도가 채널 설정의 기준이 될 게 분명하므로 이용자는 자신의 정치적 성향에 조응하는 매체가 제공하는 뉴스에만 노출되게 된다. ‘뉴스피드판’은 AI가 뉴스 노출 히스토리를 분석해 그(그녀)가 선호할 것으로 기대되는 뉴스를 추천하는데 이 또한 이용자가 여러 정치적 견해에 노출될 기회를 제한한다.
이용자의 4%만이 언론사 홈페이지를 직접 방문해 뉴스를 소비하는 반면 77%가 포털을 경유해 뉴스에 노출되는 현실(한국언론진흥재단 <디지털뉴스 리포트 2017>)의 문제점을 직시한 학자들은 포털이 뉴스 유통플랫폼으로서 공적 책무를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포털이 저널리즘 원칙에 충실한 뉴스 알고리즘을 구축할 때 제휴 언론사들은 자신들의 부적절한 뉴스생산 관행을 개선하지 않을 수 없다. 포털은 뉴스 편집·배열·검색 알고리즘을 공개해야 한다.
김춘식 한국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의 전체기사 보기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