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 보다는 운영시스템 개선을…"
기협, 전국 시도 공보관 초청 '기자실 운영 방안' 토론회
전국 광역시도에서 공보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공보관들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기자실 문제와 관련, ‘폐지’보다는 ‘운영 시스템 개선’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자협회가 지난 16일 전국 광역시도 공보관과 언론 시민단체 관계자, 기협 임원들을 초청해 가진 ‘기자실 운영방안’ 세미나에서 공보관들은 “현행 기자실에 여러 문제가 있지만 과당 경쟁의 억제, 정보원과의 신속한 접근 등 장점도 있다”며 기자실의 개방적 운영, 언론사 경비부담 등 문제를 줄여나가는 방향으로 개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발제를 맡은 전북대 권혁남 교수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기자실 문제는 기자실의 배타적·폐쇄적인 문화와 기자들의 패거리 저널리즘, 촌지 수수, 취재원과의 근접, 엠바고 양산 등이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기자들간의 과당 경쟁을 억제시키는 한편 정보원과의 신속한 접근을 통해 정확성과 신속성을 꾀할 수 있다는 면에서 기자실을 단시일 내에 폐쇄하는 것은 정보 시스템에 커다란 공백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기자실을 당장 폐쇄시키기보다는 지금의 기자실 운영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권 교수는 이를 위해 “폐쇄적인 기자실을 완전 개방하고, 중앙사를 중심으로 언론사가 기자실 운영비를 부담하는 한편 기능 중심의 취재보도 시스템으로 바꿔야 할 것”이라며 대안책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광주시 이상택 공보관은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공직협과 기자들간 갈등의 근본원인은 기자들의 왜곡보도가 주요 원인”이라며 “지나친 경쟁으로 인한 오보로 공무원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 무엇보다도 정확한 보도가 우선”이라고 밝혔다. 충북의 이종배 공보관은 “기자실 개선에 공감한다”며 “무엇보다도 기자들의 고압적 자세, 협찬 요청 등 잘못된 관행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고 대전시 김정수 공보관도 “기자실을 잘 이용하면 효율적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기자들 서로가 자존심을 내세우는 것이 문제”라며 “기자들 서로가 양보하고 스스로 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박정근 부산시 협회장은 기자실 완전 개방화에 대해 “도박, 음주 등 기자실내 병폐로 지적돼 왔던 문제점들은 많이 정화됐다”며 “그러나 일부 기자들이 기자실에 집착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 취재는 외부에서 하고 기자실은잠시 쉴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정일형 인천·경기 협회장은 “현재 기자실 개선을 위해 협회차원에서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바른 언론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대다수의 국민들이 인정하는 기자들을 대상으로 기자실 개방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며 사이비기자들의 기자실 출입에 거부감을 나타냈다.
한편 토론자로 나선 경남민언련의 강창득 대표는 “기자실 사용료가 국민의 혈세라는 것이 문제다. 사무실 공간은 무료로 사용하더라도 기자실 직원 급료와 기타 잡비는 자부담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원주참여자치의 김진희 대표는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문제는 많이 해소됐다. 가장 큰 문제점은 정서다. 기자실 내부에 소속 기자들 외에는 들어가지 못하는 정서가 형성돼있다. 기자들의 자질과 기자실 존폐여부는 독자와 시청자들이 판단하는 것”이라며 기존의 비합리적 정서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tongky21 @journalist.or.kr
김동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