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말말말 |
“노동개혁의 일반해고 지침, 현행법과 다를 바 없어”
“노동개혁 입법, 절실·절박·시급한 문제”
“청년희망펀드, 노동개혁 나쁜 진실 숨기기 위한 전시행정 우려” |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서청원 최고위원이 오픈프라이머리 관련 김무성 대표의 입장을 분명히 해 달라는 발언을 한 뒤 생각에 잠겨 있다. (뉴시스)
새누리당이 내년 총선에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문제를 두고 계파 간 갈등이 다시 수면으로 떠오르고 있다.
친박계 좌장인 서청원 새누리당 최고위원은 “김무성 대표가 오픈프라이머리에 정치 생명을 걸겠다고 말했으니 이제 어떻게 할 건지 입장을 밝히라”며 김 대표를 압박하고 있다. 대통령 정무특보인 윤상현 의원도 김무성 대표로는 차기 대선이 어렵다는 발언을 하면서 논란을 부추겼다.
김무성 대표의 최측근인 김성태 새누리당 의원이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이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김 의원은 “윤상현 정무특보에 이은 서청원 최고위원의 발언은 내년 총선에서 국민에게 우리 당이 약속한 오픈프라이머리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을 것 같으니 차선책을 가져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며 “만일 그 이상을 넘어선 의도를 가지고 보면 너무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줘야 한다는 원칙의 오픈프라이머리는 김무성 대표만의 소신이 아니라 새누리당이 당론으로 채택한 확고한 입장”이라며 “야당이 법 개정에 협조해 주지 않고 태도변화가 있다고 해서 우리가 국민과 약속했던 오픈프라이머리를 손바닥 뒤집듯 완전히 바꾸려고 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은 그러면서 “아직도 정개특위를 통해서 야당과 마지막 협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국민 공천제의 취지와 정신을 살릴 수 있는 방식을 어떻게든 찾아야 하는 상황이 올 것”이라며 “하지만 그것은 어느 당내의 어떤 정치세력에 의해서 김무성 대표가 책임을 지고, 이에 따라서 그 거취를 결정하라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대통령 정무특보는 국회에서도 국정운영이 원활하게 갈 수 있도록 의원들의 도움을 끌어내고 국회의 상황과 국민의 입장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역할에 매진해야 하는데, 정무특보가 이런 발언을 한다면 당내 갈등으로 표면화될 것”이라면서 "김무성 흔들기를 의도적이고 조직적으로 해서 차기 대선 권력 갈등을 일찌감치 표면화시킨다면 그 자체가 대통령의 레임덕을 재촉할 수 있는 길이라는 걸 너무나 잘 아는 사람이 그런 발언을 했다는 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또 김 의원은 윤 정무특보의 발언이 대통령과의 교감에서 나온 말이라는 의심에 대해서는“박근혜 대통령은 우리 당 운영에 관한 사안 등에 대해 감 놔라 콩 놔라 하실 분은 아니다”며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