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침략뿐 아니라 식민통치도 사과해야"

[8월14일 아침 라디오시사프로그램 브리핑]

오늘의 말말말

“하토야마의 철저한 사죄 일본 주류사회에 확산돼야”
- 이혜훈 전 새누리당 최고위원(유관순열사 기념사업회장)이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서 하토야마 전 총리의 무릎 사죄가 일본 주류사회에 퍼져 나가려면 오늘 오후 발표되는 아베 총리의 담화에 분명한 언어로 사죄의 의미가 담겨야 할 것이라며 한 말.

 

“국방부 엠바고, 발표시점으로 국내 정치 개입하려 한 것”
- 김광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CBS ‘박재홍의 뉴스쇼’에서 엠바고(보도유예)는 작전이 진행되는 과정이거나 예정인 경우 적에게 들키지 않기 위해 필요한 것인데, 북한의 목함지뢰도발 사건은 이미 종결된 상태고 조사도 다 마무리됐음에도 국방부가 엠바고를 걸었다며 한 말.

 

“대북 확성기 심리전이 포격대응보다 더 강력”
-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이 SBS ‘한수진의 SBS전망대’에서 북한이 가장 무서워하는 것이 정신적 심리적으로 엄청난 영향을 줄 수 있는 심리전이기 때문에 목함지뢰 도발에 대해 포격을 가하는 것보다 확성기 방송이 만 배 정도 강력하다며 한 말.

 

▲아베 일본 총리가 진정한 사죄 표현이 들어간 담화를 발표할지 주목된다. (뉴시스)

 

14일 오후 아베 일본 총리가 전후 70주년 일본의 입장을 밝히는 담화를 발표한다. 우리의 기대처럼 아베 총리의 담화에 침략과 식민 지배에 대한 반성·사과가 담길지 주목된다.

 

나경원 새누리당 의원(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은 PBC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에서 “(아베 담화가 우리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외교라는 것은 공동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인데 한일관계가 경색되면서 우리가 손해 보는 것이 많기 때문에 역사 문제에 대해서 끝까지 압박하면서 역사 이외의 한일 문제를 병치해서 풀어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나 의원은 “아베 총리의 입에 한일관계가 달려있어서 안 된다”며 “대통령께서 (내일 광복 70주년 축사에) 한일의 미래 관계에 대한 원칙적인 입장, 비전을 말씀하시는 게 맞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이어 나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이 중국 전승절 행사에 참석하는 것에 대해 “중국의 항일전쟁 승리 70주년이 우리 광복 70주년과 맞닿는다는 명분이 있다”며 “중국이 군사 대국화로 가는 신호라는 우려도 있지만 명분이 맞닿아 있기 때문에 대통령께서 전승절 행사에 참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양기호 성공회대 일본학과 교수는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에서 “아베 담화에 반성이 들어가는 것은 확정이지만 사죄·침략 단어 포함 여부가 관심사”라며 “한국의 기대로선 반성·사죄· 침략뿐 아니라 반드시 식민통치까지 들어가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양 교수는 “아베 총리는 전후 일본이 평화헌법을 지키면서 아시아 경제 성장에 지대하게 공헌한 것을 강조하려 한다”며 “사죄라는 것은 진정성이 있어야 하는데 반성·사죄·침략·식민통치 단어를 포함할까 말까 판단하는 과정 자체가 한국·중국입장에선 진정성이 결여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양 교수는 “한일관계는 올 초부터 투트랙 방향이었지만 이것은 정상회담이 있어야 변화할 수 있다”며 “(박 대통령의) 임기 하반기에 이르기까지 한일정상회담이 개최되지 않은 것은 일본 측의 책임이 가장 크지만 우리도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 책임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달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