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말말말 |
“안보라인 정무적 판단능력 결여가 혼란 초래”
“안보 컨트롤타워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국민 불안”
“중국 위안화 절하, 한국은 걱정할 상황 아냐” |
▲지난 5월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정치개혁 특별위원회 주최로 '선거구획정기준 등에 관한 공청회'가 열리고 있다. (뉴시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국회에 내년 4월 총선 선거구 획정에 대한 기준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한 기한이 다가왔지만, 여야는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박민식 새누리당 의원과 김태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12일 CBS ‘박재홍의 뉴스쇼’에서 선거구 획정을 둘러싼 여야의 입장을 밝혔다.
박민식 의원은 “여야가 권역별 비례대표, 오픈 프라이머리 등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데 지금 정개특위에서는 그 정도까지의 논의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며 “인구, 사회적 생활 방식, 생활권, 면적 등을 고려해서 선거구를 획정하기 위한 논의를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박 의원은 “헌법재판소의 인구 비례 2:1 결정을 존중하면서도 기형적으로 획정돼 있었던 지역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조금 지체되는 것이지 조만간 여야 간 결론이 날 것”이라며 “국회 밖에서도 논의가 많이 축적돼왔기 때문에 선거구획정위가 획정 결과를 국회로 보내는 날인 10월13일까지는 충분히 결정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여야가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오픈프라이머리 빅딜 문제로 갈등하고 있다고 하는데, 이 둘을 흥정하는 것은 빅딜이 아니라 ‘롱(wrong, 잘못된)딜’이다”며 “오픈프라이머리는 국민에게 공천권을 주는 것이고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선거 제도 일부이기 때문에 완전히 다른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태년 의원은 “국회 정개특위에서 여야 간 워낙 많은 쟁점이 합의되지 못하다 보니 획정기준 마련시한을 지키지 못할 것 같다”며 “하지만 10월13일 확정 결정에는 지장 없도록 기준을 정해 보내드릴 생각”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새정치민주연합은 정치개혁을 위한 지역구도 완화, 비례대표 강화 등을 위해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주장하고 있다”며 “새누리당에서는 본인들이 가진 과반의석이 깨질까 두려워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의원은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선거제도고 오픈프라이머리는 공천제도인 것은 맞지만, 협상은 양당이 관심을 두고 있는 것에 대해 함께 협의하는 것”이라며 “본인들이 주장하는 것만 취하고 상대 당이 주장하는 것은 논의하지 않겠다는 자세는 협상이 아니다”고 덧붙였다.
김달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