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말말말 |
“북한 표준시 30분 늦춘 평양시 사용…우리도 고려해야”
“신당 창당될 수밖에 없어”
“롯데그룹 경영권 분쟁, 자율에 맡겨야” |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 이희호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이 방북을 마치고 8일 오후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을 통해 입경, 입장을 밝히고 있다. (뉴시스)
이희호 여사가 북한을 방문했지만 애초 기대와 달리 김정은 제1위원장은 만나지 못하고 돌아왔다. 이를 두고 정치권의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이희호 여사의 방북 성과에 대해 정영철 서강대 공공정책대학원(북한학) 교수는 “이 여사의 방북이 남북관계의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정부 관계자가 동행하는 것을 거부한 북한과 방북을 대화의 통로로 만들지 못한 정부의 소극적 행동 등 때문에 결국 이 여사의 개인적인 방북 정도로 그치게 됐다”고 평가했다.
정 교수는 “김정은 제1위원장과의 만남이 이뤄지지 못한 것은 이번 방북이 철저히 사적이었던 점, 즉 정부가 이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며 “사적인 담화 이외에는 할 수 있는 이야기가 없고 과거 이미 만난 적도 있기 때문에 굳이 김 제1위원장이 시간을 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 교수는 “현재 남북 간에는 어떠한 별도의 채널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고 당분간 대화의 가능성도 거의 없다고 보인다”며 “이번 달 훈련이 예정된 을지프리덤가디언에 대해 북한이 군사보복을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어려운 남북관계가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은 CBS ‘박재홍의 뉴스쇼’에서 “김정은 제1위원장은 나오지 않더라도 최소한 부인 리설주는 나와서 이 여사를 영접할 것이라고 봤는데 상당히 의외였다. 김 제1위원장이 이 여사를 농락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하 의원은 “미국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의 경우 개인 자격으로 방문한 뒤 독자적인 정치력을 발휘해 성과를 냈다”며 “야당이 정부가 안 도와줘서 그렇다는 것은(성과가 없었다는 것은)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서 분풀이하는 격이다"고 말했다.
이어 하 의원은 “통진당 해산 이후 국내 종북세력이 약화됐기 때문에 북한히 분단유지정책, 다른 말로 하면 통일포기정책을 강화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생각이 든다”며 “지금 결과적으로 아무것도 얻은 것이 없기 때문에 방북 시기를 연말께 미국·중국과의 관계가 좋아졌을 때쯤으로 조금 늦추는 게 좋았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김달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