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래도 햇볕?' '그래도 햇볕!'

서울지역 10개지 사설 서해교전 이후 입장 양분

남북한 간 '서해 교전' 사태 이후 신문사설의 쟁점은 햇볕정책의 존폐 여부였다. 입장은 말그대로 양분됐다.



동아일보, 세계일보, 조선일보는 햇볕정책의 '용도폐기'를 주장했다. 동아일보는 '대북정책의 본질을 재점토할 때이고 국가안보회의에서 햇볕정책 고수를 결정한 것은 객관적 여건을 무시한 판단'(16일자)이라고 밝혔다. 조선일보 역시 "누가 먼저 침범했고 총을 쏘았느냐의 원죄적 책임은 얼버무린 채 평화적인 해결책을 촉구하는 추상론은 그 사상을 의심하게 만든다"(18일자)고 언급했다.



'튼튼한 안보를 믿어달라?'(12일자), '밀어내기로만 만족할 건가'(14일자), '햇볕을 거두라'(16일자) 등으로 수위를 높여간 세계일보는 "서해침범과 무력행사는 말하자면 '햇볕정책'이 잉태한 '악의 씨'나 다름없다"고 단언했다.



이같은 주장의 반대편에서 대한매일, 한겨레신문, 한국일보는 '계속 추진'을 주장했다. 햇볕정책을 통해 장기적으로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고 냉전체제를 해체하는 것이 기본 원칙이라는 입장이다.



대한매일은 "정부가 서해 교전사태에도 불구하고 기존 대북포용정책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기로 한 것은 현명한 선택"(18일자)이라고 평가했다. 한겨레신문은 "일부 언론이 앞장서 위기감을 부추기며 이 기회에 정부정책을 뒤흔들어 보수쪽으로 선회시키려는 태도는 비판받아야 한다"(16일자)고 지적했다. 한국일보도 "'신북풍론'이나 햇볕정책의 용도폐기론은 정치적 공세에 지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이밖에 신문들은 '재검토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경향신문과 중앙일보의 경우 햇볕정책은 원칙적으로 일관되게 추진해야 하지만 '구체적 정책수단과 대북사업 이행시기 등에 대한 재검점과 반성'(경향신문 18일자), '북한대응에 따라 일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연성'(중앙일보 17일자)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국민일보는 "정부가 대북정책을 독점적으로 이끌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17일자)며 '민의에 기반한 대북정책'을 주문했으며 문화일보도 "'무조건 주기'식의 햇볕정책이 효과적일지 다시 한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17일자)고 밝혔다.
김상철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