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들은 세월호 참사 책임을 박근혜 정부에 물어야 하고, ‘전원 구조’ 등의 오보를 낸 언론도 참사의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세월호 참사 이후 언론에 대한 불신이 고조되면서 등장한 ‘기레기’라는 표현에 대해 대체로 수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기자협회는 창립 50주년을 맞아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7월31일부터 8월1일까지 전국 기자 303명을 대상으로 세월호와 언론보도, 미디어 현안, 기자 복지 등에 대해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세월호 참사 책임 박근혜 정부” 54.6%‘건국 이래 최악이라는 세월호 참사의 책임은 누구에게 물어야 합니까’ 질문에 기자들 54.6%가 ‘박근혜 정부’에 있다고 응답했다. 이어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 13.7%, ‘해피아(해양수산부+마피아)’ 11.5%, ‘해경’ 6.2% 등이 뒤를 이었다.
기자들은 전원 구조 오보 등 언론 보도도 세월호 사고의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지적에 대해 ‘적극 동의한다’ 56.8%, ‘조금 동의한다’ 33.7% 등 90.5%가 동의한다고 응답했다.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0.5%, ‘별로 동의하지 않는다’는 7.8%로 나타났다.
“‘기레기’ 표현 맞는 말이다” 68.7%세월호 참사 이후 기자들은 ‘기레기’라는 말이 상징하듯 냉소와 조롱의 대상으로 전락했다. ‘기레기’라는 표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다. 기자들 68.7%가 ‘맞는 말’(전적으로 맞는 말 20.4%, 대체로 맞는 말 48.3%)이라고 인정했다. ‘맞지 않는 말’이라는 응답은 29.5%(전혀 맞지 않는 말 5.8%, 별로 맞지 않는 말 23.7%)로 나타났다.
재난보도준칙이 유명무실하지 않기 위한 노력으로 ‘데스크를 포함해 기자 개인의 실천 의지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42.9%로 가장 많았다. 이어 ‘회사 차원의 관심과 투자’라는 응답이 27.0%였고, ‘꾸준한 재교육’ 26.2% 등이 뒤를 이었다.
기자들은 주목해야 할 미디어 현안 중 가장 시급한 것으로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38.4%)을 꼽았다. ‘포털 등 온라인 뉴스 시장 정책’은 32.7%, ‘신문산업 진흥정책’은 20.5%였고, ‘해직언론인 복직’ 4.1%, ‘언론인 복지 정책’ 4.0%로 나타났다.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이 시급하다’는 응답은 방송(57.0%)이 신문(32.6%)보다, 세부매체별로는 중앙방송(56.2%)에서 높았으며, 포털 등 온라인 뉴스 시장 정책이 시급하다는 응답은 신문(33.5%), 특히 경제신문(53.8%), 스포츠신문(50.0%), 중앙일간지(43.8%)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됐다.
“온라인 유료화, 포털이 걸림돌” 67.3%몇몇 언론에서 온라인 콘텐츠 유료화를 시작했지만 뉴스 시장에서 착근하지 못하고 있다. 온라인 유료화 현실이 녹록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기자들은 ‘포털 중심의 뉴미디어 구조’(67.3%)를 가장 큰 이유로 들었다. ‘빈약한 콘텐츠’는 12.2%, ‘회사 차원의 투자 부족’은 9.0%, ‘뉴스룸 인력 부족’ 5.3%, ‘기자들의 노력 부족’ 1.8%였다.
포털은 언론사들로부터 뉴스·정보 콘텐츠를 염가로 사들여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 있다. 반면에 언론사들의 수익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기자들은 ‘언론과 포털의 상생공존을 위해 포털이 해야 할 일’로 ‘언론 콘텐츠 저작권 보호’(40.0%)라고 답했다. 이어 ‘뉴스콘텐츠 사용료 인상’이 35.0%였고, ‘언론관련 공적기금 조성’ 16.4%, ‘언론사 프로젝트 후원’ 5.5% 등이 뒤를 이었다.
영향력 1위 KBS ·신뢰도 1위 한겨레기자들이 꼽은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사는 KBS, 가장 신뢰하는 언론사는 한겨레로 조사됐다. JTBC는 영향력과 신뢰도에서 각각 6위와 4위를 차지해 눈길을 끌었다.
기자들은 소속사를 제외하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사로 KBS(46.3%)를 들었다. 다음으로 조선일보(23.5%), 연합뉴스(6.0%), YTN(4.9%), SBS(2.2%), JTBC(1.6%), MBC(1.2%), 경향신문(1.1%), 중앙일보(0.9%), 한겨레(0.8%), 채널A(0.4%) 순이었다. KBS는 2011년 기자협회 창립 47주년 조사(31.6%), 2013년 창립 49주년 조사(45.2%)에 이어 3회 연속 영향력 1위에 올랐다.
기자 23.4%는 가장 신뢰하는 언론사로 한겨레를 꼽았다. 이어 KBS(12.9%), 경향신문 (10.0%), JTBC(7.9%), 연합뉴스(6.3%), YTN(4.8%), SBS(2.5%), 조선일보(1.9%), 중앙일보(1.5%), 한국일보(1.0%), 시사인(0.8%), MBC(0.7%)가 뒤를 이었다. ‘기타/무응답’은 25.2%였다. 한겨레는 2006~2007년, 2009~2011년, 2013년 기자협회 조사에서 신뢰도 1위에 올라 이번까지 7회 연속 1위를 차지했다.
JTBC 신뢰도는 방송기자들 사이에서 14.8%로 한겨레(20.0%)에 이어 2위였으며 KBS(7.2%), SBS(6.6%), MBC(1.4%) 등 지상파 3사를 압도했다.
한길리서치 홍형식 소장은 “세월호 언론보도를 통해서 JTBC가 언론계 주목을 받은 것이 이번 조사에 나타났다”며 “손석희 앵커의 진도 팽목항 현지 진행, 잇단 단독 보도 등이 기자들에게 임팩트를 준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기자 지망했을 때보다 만족도 떨어져”기자들은 이번 여론조사에서 현재 받고 있는 급여에 불만족하며, 기자를 지망했을 때와 비교해 만족도가 떨어진다고 응답했다.
급여에 대한 만족도는 ‘불만족’이 72.4%(매우 불만족 19.8%, 다소 불만족 52.6%)로 높게 나온 반면 ‘만족’은 27.1%(매우 만족 2.5%, 다소 만족 24.6%)로 조사됐다. 급여 불만족은 특히 스포츠신문(100%), 지방일간지(82.1%)가 다른 매체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하루 평균 근무시간이 얼마나 되느냐’ 질문에 10시간이 29.6%로 가장 많았고, 9시간이 24.6%로 뒤를 이었다. 11시간 21.6%, 12시간 16.3%, 13시간 이상 7.5% 등으로 나타나 기자들이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자들 51.3%는 ‘기회가 된다면 언론사 이외 타 직장으로 전직하고 싶은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전직 의향이 없다’는 47.0%였다. 전직 의향이 있는 기자들은 가고 싶은 직종으로 30.1%가 전문직을 꼽았으며 대학이나 연구직(25.1%), 개인사업(13.9%), 프리랜서(11.3%), 공무원(7.8%), 대기업(1.1%), 정치권(1.0%) 등의 순이었다.
기자 직업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만족’ 7.6%, ‘대체로 만족’ 38.3% 등 45.9%가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불만족한다’는 11.8%, ‘보통이다’는 35.5%였다.
기자 직업에 대한 비교적 높은 만족도와 달리 기자를 지망했을 때와 비교해 현재 만족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48.3%가 ‘기대보다 불만족스럽다’고 답했고, ‘기대했던 정도’가 32.0%, ‘만족스럽다’는 18.9%였다.
‘정년 연장이 필요하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기자들 67.8%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불필요하다’는 27.9%로 나타났다. 기자들이 생각하는 적정 정년은 60세로 조사됐다. ‘적정 정년’에 대해 45.4%가 60세를 들었고 이어 65세(31.8%), 58세(6.4%), 70세(5.6%), 55세(3.8%) 등 순이었다.
지난해 4월 국회를 통과한 정년 연장법에 따르면 300인 이상 언론사는 2016년부터, 300 인 미만 언론사는 2017년부터 60세 정년 의무화가 적용된다. ‘정년 연장법’이 언론계 현실에 적용될 수 있을지에 기자들 55.9%는 ‘정착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정착될 것 같다’는 응답은 42.1%였다.
기자들은 한국기자협회가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 할 분야로 ‘회원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 및 연수’(30.2%)를 1순위로 꼽았다. 이어 ‘언론인 자질 향상’(29.2%), ‘언론자유 수호’(24.4%), ‘회원 친목과 권익 확대’(11.9%), ‘국제 언론인과 교류’(1.8%) 등으로 나타났다.
‘언론인공제회가 언론인 복지에 어느 정도 기여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52.9%(매우 기여 8.5%, 조금 기여 44.4%)가 기여할 것이라고 답했다. ‘별로 기여하지 못할 것이다’는 38.5%, ‘전혀 기여하지 못할 것이다’는 3.8%로 조사됐다.
김성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