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언론학회가 주최한‘현 단계 한국 언론의 위기 진단과 대안 모색을 위한 대토론회’가 20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8층 외신기자클럽에서 열렸다. | ||
20일 한국언론학회 주최로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8층 외신기자클럽에서 열린 ‘현 단계 한국 언론의 위기 진단과 대안 모색을 위한 대토론회’에서는 한국 저널리즘의 쟁점을 정리하고 전문가들의 견해를 듣는 장이 마련됐다.
언론계·학계 전문가들은 한국 언론이 위기라는 데 인식을 같이 하며 특히 KBS의 지배구조 개선과 관련해 법적·제도적 차원의 해결방안을 제시했다.
김경환 상지대 언론광고학부 교수는 “KBS 사태로 인해 언론에 대한 정치권의 제도화된 개입이 외부에 적나라하게 드러났다”면서 “언론의 위기를 초래하는 정치권의 제도화된 개입, 보수 중심적인 통제시스템의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특별다수제를 도입하고 내부적으로도 직선제를 통해 국장을 임명해야 한다”면서 “이런 방안들을 국회에서 제도적으로 해결해준다면 현실적이고 빠를 것”이라고 말했다.
홍진표 한국PD연합회장도 “KBS의 새 사장 선임 문제는 MBC와 SBS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현안”이라며 “특별다수제를 도입해 독립성과 공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사장을 선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사내 내적으로도 보도 독립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면서 직선제, 임면동의제 등을 내용으로 하는 ‘국장책임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주정민 전남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KBS와 같은 공영방송이 독립적인 시스템과 정치적 중립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공영방송을 보완해주는 법적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면서 “별도의 공영방송법을 만들어 공영방송이 독자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언론인 지원과 관련한 법적·제도적 개선을 통해 저널리즘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전문가들도 있었다.
박종률 한국기자협회장은 “언론이 제대로 필터링을 해서 수용자들에게 진실을 알릴 의무도 있지만 언론에 대한 존중, 바람직한 소통관도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흔들리지 않는 저널리즘을 구현하려면 구조적으로 언론인들이 잘 할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민주국가에서는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은 물론 언론 자체를 보호해야 한다”면서 “한국기자협회는 언론인들의 노후 보장을 위한 언론인공제회 입법을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승목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도 “언론인들이야말로 교수들처럼 연구년을 갖고 재충전을 할 기회를 갖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면서 “교수들의 연구년 제도도 1990년대 들어와 생긴 만큼 학계와 언론계와 협업해 연구년의 제도화를 도울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제안했다.
전문가들은 전문성 강화 등 언론사의 직업문화 개선을 통해 한국 언론의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김춘식 한국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부적절한 뉴스 생산을 초래하는 원인 중 하나가 순환 보직 시스템이고 이런 시스템 하에서는 기자들의 지식이나 전문성이 축적될 수 있는 기회가 적다”며 “이 때문에 주요 신문·방송사에서 만드는 뉴스와 신생 인터넷매체가 만드는 뉴스의 질이 크게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
유민영 에이케이스 대표는 “데이터 저널리즘 등 언론은 세계적으로 전문성과 유연성을 강화하는 측면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한국 언론도 새로운 저널리즘의 역할을 찾아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언론인이 현장을 지휘하고 대처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춰야 한다”면서 “한국 언론은 일반화의 오류에 빠져 있는데 집중성과 전문성을 구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언론인들뿐만 아니라 학자들도 한국 언론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임영호 부산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언론학자들이 의제를 주도하고 만들어가야 하는데 의견을 표명하는 수준에 그치고, 저널리즘이라는 이념적 틀에서 어젠다를 만드는데 소홀했다”면서 “외국에서 배운 원론적인 지식을 현실에 적용해 실현 가능한 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황용석 건국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언론사의 독립성과 내부 권력의 상충문제를 학계가 평가할 수 있다”면서 “정량적인 평가가 아니더라도 시청자 권익제도나 지상파 허가제도 등에 대해 학회가 평가적 역할을 수행해 언론계와 학계가 건강한 긴장 관계를 가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강아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