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방송 정부 책임 덮기 급급"

인권·언론·교사 단체 광화문 광장서 기자회견



   
 
  ▲ 인권·언론·교사 단체가 12일 오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세월호 사건에 대한 표현의 자유 침해와 보도통제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인권·언론·교사 단체가 12일 오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세월호 사건에 대한 표현의 자유 침해와 보도통제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날 민주언론시민연합 등 언론단체와 인권단체연석회의,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은 “정부와 경찰이 세월호 사건에 대한 언론과 시민들의 비판의 목소리를 감시하고 탄압하는 행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며 “실종자 구조와 진상규명 및 책임자 처벌에 힘쓰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정부가 진도 실내체육관과 팽목항, 분향소와 장례식장에 경찰들을 대거 배치해 실종자 가족과 추모 시민들을 감시한 사실이 드러났다”며 “방송통신위원회는 언론 보도를 통제하는 지침을 마련하고 공영방송은 정부의 책임을 덮어주기 위한 파행 보도로 일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교육부는 학생들의 SNS 단속을 지시하고 산업통상자원부를 비롯해 여러 부처도 SNS에서 시민들의 발언을 위축시키려 한다”며 “전국적으로 천여 명의 경찰이 동원돼 시민들의 사이버 활동을 감시하고 방통심의위를 통해 게시물들을 삭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정부는 유언비어 대응을 언론 개입의 명분으로 내세우지만 정부 비판의 목소리를 감시하고 통제하려는 활동은 중대한 표현의 자유 침해”라며 “정부는 알 권리와 기억할 권리, 시민 스스로 판단할 정보통제의 권리 모두를 침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지금 온 힘을 다해 해야 할 일은 표현의 자유 침해와 언론통제가 아니라 조속한 실종자 구조 및 진정한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이라며 “이윤을 불리기 위해 규제를 완화한 책임, 살릴 수 있는 사람들을 살리지 못한 책임, 희생자들에 대한 2차 가해와 인권침해의 책임 모두를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아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