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언론 위기, 무엇을 할 것인가…콘텐츠 강화·정부 체계적 지원 절실"

2013 지역신문 컨퍼런스 '현장의 목소리, 학계의 시각'


   
 
  ▲ 지난 15일 대전 유성구 도룡동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3 지역신문 컨퍼런스’의 기획세션 ‘현장의 목소리, 학계의 시각’에서 토론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과연 우리(지역신문)가 자랑했던 역사와 전통은 우리의 자산이 될 것인가, 부채로 남을 것인가.”
지난 15일 대구 유성구 도룡동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3 지역신문 컨퍼런스’의 기획세션 ‘현장의 목소리, 학계의 시각’에서 석민 매일신문 뉴미디어부장은 지역신문의 미래에 대해 의문점을 던졌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12년 언론수용자 의식조사’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신문 구독률은 52.9%(2002년)에서 24.7%(2012년)로 절반이 줄었다. 특히 환경이 열악한 지역신문에서는 체감도가 더 높을 수밖에 없다.

이병철 부산일보 멀티미디어부장은 지역 내부에서 원인을 찾았다. 이 부장은 “정보의 양과 질이 점차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역 자체의 정보 발산력이 떨어지고 있다”며 “또 지역 경제가 무너지면서 정보 구매력도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준수 광주매일 미디어사업국장은 경영·마케팅 능력의 부재를 꼽았다. 박 국장은 “열악하고 영세한 신문사가 광주 내에만 20여개 가까이 난립하면서 시장질서가 무너졌다”며 “특히 광고 시장이 비정상적으로 붕괴됐다”고 말했다. 포털과 IT 기술의 확산이 종이신문의 사양화를 부채질 하고 있다는 지적도 뒤이었다.

임연희 디트뉴스 행정팀장은 저널리즘 측면의 신뢰도 하락을 지적했다. 임 팀장은 “다른 신문이 쓰지 않는 기사를 써야 한다”며 “환경보다 콘텐츠의 차별성이 있어야 한다. 그러면 독자 스스로가 찾아와서 숨어있는 기사를 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타 매체를 무기로 활용해야”
각 지역신문사들은 이러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이어가고 있었다. 해남신문은 동영상 뉴스를 제작해 지상파 방송사와 통신사에 이를 제공한다. 또한 라디오나 IPTV를 통해 콘텐츠를 확산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광주매일은 라디오·방송·생활정보지 등 이종매체간의 협력을 통해 공동기획·교육·캠페인 등 다양한 사업을 함께하고 있다. 석민 부장은 “다매체 시대라면 신문이 이를 무기로 활용해 대응해야 한다”며 “기자들은 모든 매체의 특성을 이해하고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콘텐츠 차별화도 시도되고 있다. 임연희 팀장은 “정보공개청구를 활용해 기획 시리즈를 쓰면 기사의 질이 달라진다”며 “취재 과정이 오래 걸릴지라도 지자체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지적할 수 있다”고 했다. 이현준 경인일보 기자는 지역밀착형 콘텐츠 개발을 앞세웠다. 대표적인 것이 경인일보가 발간한 ‘세계사를 바꾼 인천의 전쟁’ 등이다. 이 책은 경인일보 특별취재팀이 2011년 연재한 ‘세계의 전장(戰場) 인천, 평화를 말하다’를 바탕으로 했다. 이 기자는 “인천상륙작전, 연평도 포격, 천암함 사건 등 국가적인 시각으로 다루던 전쟁을 지역시각으로 풀어냈다는 평을 이끌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현준 기자는 지역신문이 ‘온라인 뉴스 유료화’를 검토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기자는 “지난 6월 태국에서 열린 세계편집인포럼에서 뉴스 유료화가 논의됐다”며 “지역 출신 인물의 개인정보를 담은 데이터베이스를 갖춰 제공하는 등의 방법으로 지역신문의 유료화를 고민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지역신문지원법 영구화 등 필요”
하지만 석민 부장은 “이러한 변화에는 많은 자원과 에너지가 필요한데 지금 당장이 어렵다보니 주 수입원인 신문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며 한계를 지적했다. 결국 정부나 지역발전위원회(지발위)의 체계적인 지원만이 살 길이라는 주장이다.

조영호 KBS대전 기자는 “정부와 지발위가 지역언론이 공공재라는 것을 인식하고 사명감을 가질 때 지역저널리즘이 회복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준수 국장은 “지역신문의 가치는 인적 자본”이라며 “현재 기자들의 급여 수준이 현저히 낮은 것이 가장 큰 위기다. 생계비를 지원할 수 있도록 자금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이병철 부장도 이에 공감을 나타내며 지발위의 역할을 강조하고 나섰다. 이 부장은 “한시법인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을 상시법으로 개정해야 한다”며 동시에 지발위 사무국의 상시화·기관화를 주장했다.

색다른 아이디어도 나왔다. 임연희 팀장은 “지역신문의 가장 큰 문제점은 감시·비판 기능의 실종”이라며 “언론사를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하는 것도 한 방안이다. 광고 없이 정부나 주민의 출자를 바탕으로 기자가 기사만 쓰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대 광고주인 지자체의 눈치를 보지 않으려면 광고비의 교차지원도 검토할 수 있다”며 “예를 들어 광주 지역 언론에는 대전시가, 대전 지역 언론에는 광주시가 광고비를 지원하는 형태다. 허황된 생각일 수 있지만 언론 본연의 기능을 살릴 수 있지 않을까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토론자들은 “지역신문은 그 공공재적 성격 때문에 절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모바일, 인터넷, 방송 등 뉴스를 담는 그릇은 바뀌더라도 근본적 가치는 바뀌지 않을 것이다. 문제는 시장이 그 가치를 사고 싶도록 만드는 것”이라는 데 입을 모았다. 김희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