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핏하면 좌우대립, 논리도 근거도 없다

북한·노동·복지정책 과도한 이념 논쟁화로 갈등 확대

언론이 북한 관련 문제나 노동현안, 정부의 사회복지정책 등에 대해 근거 없이 이념문제나 좌우갈등으로 몰고감으로써 불필요한 사회적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는 비판이 높다.

평양 통일행사 참가단의 돌출행동 문제만 해도 일부 인사의 잘못된 행동을 비판하고 반성을 촉구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이를 빌미로 시민사회단체에 대해 ‘색깔 공세’를 펴는 것은 과도하다는 것이다.

또 주 5일 근무제나 의약분업 등 이미 다른 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제도조차 ‘사회주의적 정책’ 또는 ‘포퓰리즘’이라는 야당의 주장을 인용하는 형식을 빌어 ‘중계’ 보도하는 대신 이를 실증적인 자세로 타당성을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28일 북쪽 민화협의 “부문별 단체간 실무협의를 갖자”는 제안을 계기로 평양 통일행사에서 논의된 민간교류의 성과가 가시화될 가능성을 높인 점을 볼 때 행사초기 ‘참관’ 논란과 이른바 ‘돌출행동’을 과장해 좌우갈등으로 몰고간 언론의 처사는 온당치 못하다고 당시 참가자들과 언론학자들은 지적한다.

통일연대 정대연 부대변인은 30일 “범민련이 합법적 활동 조건을 마련하기 위해 이번 방북기간 동안 강령을 바꾼 것은 오히려 환영해야 할 일”이라며 “현지에서 입장이 정리되지 않아 초래된 혼란을 색깔공세로까지 확대하는 것은 문제”라고 주장했다.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김서중교수 역시 “언론이 갈등에 초점을 맞춰 보도한 것은 기본적인 대북 보수시각을 반영하고 있다”며 “사안의 본질에 대한 접근보다 실제 기사화했을 때 관심을 끌 수 있는가에만 초첨을 맞춘 것”이라고 말했다. 현안에 대한 심층 분석으로 본질에 접근하기보다는 독자들의 눈길을 끌 수 있겠다고 판단되는 사건에 집중해 온 언론의 보도관행이 이같은 갈등과 대립을 오히려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념대결을 조장한 언론의 보도태도는 한나라당 김만제 의원의 ‘낡은 사회주의 논쟁’에서도 나타났다. 대부분 사설 등을 통해 색깔론 공방에 양비론적인 태도를 취했으며 일부 신문을 제외하고는 ‘낡은 사회주의’ 주장의 타당성에 대한 심층적 분석 대신 중계 보도나 그 파장을 다루는 데 그쳤다.

실제 김의원이 사회주의 발상이라고 지목한 전교조의 사립학교법 개정 요구는 사적 이윤추구의 도구로 전락할 위기에 놓인 교육의 공공재로서의 성격을 강화하자는 취지에서 비롯됐다. 또‘낡은사회주의 정책’으로 규정된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시행이나 의약분업, 건강보험 통합 등은 IMF도 역설한 사회안전망의 일환인 동시에 이미 선진국에선 보편화된 사회복지 정책들이다. 또 주 5일 근무제 문제의 경우 미국이나 유럽에선 오래전부터 시행돼 오고 있다.

한 신문사 경제부 기자는 이런 사정과 관련해 “김의원의 사회주의 주장은 마치 ‘지존파나 막가파가 부자를 증오하니 사회주의다’라는 식의 논리와 별반 다를 게 없다”며 “언론은 말이 주는 자극에 휘둘릴 게 아니라 철저한 사실확인(fact finding)으로 실체에 접근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동원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