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교육청 장학사 인사 비리

제270회 이달의 기자상 지역취재보도 / 대전CBS 신석우 기자


   
 
  ▲ 대전CBS 신석우 기자  
 
1월5일 토요일. 당직 근무를 마치고 가족들과 식사 도중 ‘부르르’ 떨린 전화기. “장학사 한 명이 구속됐다. 문제를 유출했다고 하더라.”

그날 밤 첫 기사와 후속 박스 기사를 출고했다. 쏟아지는 제보들. 몇 꼭지의 기사가 나간 뒤 장학사 한명이 자살을 시도했고 끝내 숨졌다. 꼭 기사 때문은 아니었겠지만 마음이 많이 아팠다. 고인의 명복을 빈다.

김종성 교육감의 연루 의혹을 보도했다. 경찰 소환조사를 받고 나온 교육감이 음독했다. 퇴원하기까지 1주일, 노심초사하는 날들이었다. 원했던 건 사람이 상하는 일이 아니었다. 교육감은 여전히 혐의를 부인하고, 현재는 장학사를 넘어 행정직 인사 비리 의혹에 대한 경찰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

지난 두 달, 모든 신경은 여기에 쏠려 있었다. 백지를 앞에 두고 조직도를 그려보기도 하고 각자의 역할을 넣어보기도 하고 ‘퍼즐 맞추기’에 여념이 없었다. 제보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앞으로 기자생활동안 이런 보도를 또 다시 할 수 있을까. 우선 호흡이 길었다. 1월5일부터 지금까지 기자상 상신은 교육감 구속 영장이 발부된 3월6일자까지 포함됐다. 기사를 취합하다보니 두 달 동안 나름 의미 있는 단독 기사가 15꼭지 정도 됐다.

대부분 민감한 사안들이어서 행여 문제가 있을까 확인에 확인을 거듭한 것들. 이후 경찰 수사 과정에서 사실로 밝혀져 다행이었지만, 기사를 출고할 당시의 긴장감이란. 이 기간 동안 교육감을 비롯해 장학사 3명과 교사 1명이 구속됐고 20여명에 가까운 현직 교사들의 혐의가 입증돼 현재 사법 처리를 앞두고 있다.

꼭 써야 할 것과 쓰지 말아야 할 것, 지금 당장 써야 할 것과 좀 더 있다가 써야 할 것을 구분하는 일도 쉬운 일은 아니었다. 이 기사를 ‘왜 쓰는지’ 잊지 않기 위해, 넘치지 않기 위해 노력했다. 앞서 사람이 상했던 터라 더욱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었다. 교육청 조직원들의 명예도 빼놓을 수 없었다. 문제의 근원은 교육청 자체가 아니라 교육청의 시스템이다. 내가 바라는 건 극소수 조직원들의 각성과 시스템의 개선이다. 대전CBS 신석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