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 '붐'… 언론계도 관심 'Up'

사례 조명 등 기획보도 이어 연구포럼도 발족


   
 
  ▲ 지난 3일 서울시청 신청사 다목적홀에서 열린 ‘미디어협동조합 국민TV 기념식 및 창립총회’에서 발기인 및 설립동의자들이 발대식을 지켜보고 있다. (뉴시스)  
 
지난해 12월1일 협동조합기본법이 발효된 후 본격적인 협동조합 시대의 막이 열렸다. 법이 시행된 지 100일을 맞는 지난 10일 기획재정부는 전국에서 신청된 협동조합만 647건이며 이중 74%인 481건이 신고수리 또는 인가됐다고 밝혔다. 이처럼 협동조합이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언론계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언론사들은 국내외의 다양한 협동조합 사례를 보도하며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한겨레는 지난해 6월1일부터 ‘99%의 경제’라는 이름으로 매주 금요일마다 협동조합을 집중 보도해왔다. 당시 ‘협동조합이 싹튼다’라는 기획을 필두로 이후 전국 각지의 사례를 다루며 사회적경제위원회 조직 등의 신설을 제안했다. 경향신문은 지난 1월2일 신년기획 특집기사로 ‘왜 사회적 경제인가’를 조명해 성장경제가 아닌 사회적 경제의 필요성을 전했다. 조선일보도 공익 섹션 ‘더나은미래’를 통해 아프리카 말라위 치무투 CDC 협동조합 등의 사례를 틈틈이 소개했다.

이러한 추세와 걸맞게 언론인 스스로 사회적 경제 연구를 위한 모임도 결성했다. 지난달 27일 출범한 ‘사회적 경제 언론인 포럼’으로 김현대 한겨레 선임기자와 이경숙 머니투데이 기자를 비롯해 경향신문, 시사IN, 오마이뉴스, 조선일보, 중앙일보, 파이낸셜뉴스, CBS, KBS 등 17명의 다양한 언론인들이 모였다. 소속 언론사도, 출입처도 다르지만 협동조합과 사회적 기업 등 시장 영역에서 공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적 경제라는 관심사의 뿌리는 같다. 이들은 전문가 초청 등 매달 1차례씩 심도 싶은 토론과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며, 오는 25일에는 박원순 서울시장과 간담회를 진행한다.

이들은 포럼이 장기적으로 각 매체를 통해 사회적 경제에 대한 개념과 대중 인식을 확산할 수 있다고 전했다. 포럼 대표인 김현대 기자는 “사회적 경제 영역은 아직 어린 싹”이라며 “대중적 인식도 낮고 전문가 층도 얇아 사회적 소통이 필요하다. 이를 정착시키는데 언론인들의 주도적인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나아가 사회적 경제가 언론 환경과 정체성에도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자본과 권력으로부터 독립된 저널리즘의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주식회사 지배구조의 한계를 벗어난 협동조합이 한 방법이라는 설명이다. 조합원들이 낸 조합비를 중심으로 하는 만큼 광고에 의존하지 않고 조합원 ‘1인 1표’라는 동일한 권리 행사로 자주와 자립이라는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일례로 지난 3일 대안방송을 지향하며 1009명의 조합원이 10억9400만원의 출자금으로 창립한 ‘미디어협동조합 국민TV’가 있다. 김현대 기자는 “사회적 경제는 한국 언론이 어디로 가야 하는지 반성하고 점검할 수 있는 계기이자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강진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