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동아일보가 최근 잇따른 지면 혁신을 선보여 언론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
|
|
1987년 동아일보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심층적으로 보도해 ‘6월 항쟁의 산파’라는 명예를 얻었다. 그 동아일보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박근혜 정부의 고위공직자 후보에 대해 검증의 칼날을 매섭게 들이대는가 하면 진영논리를 떠나 진보세력의 목소리도 과감히 전달하고 있어서다.
동아는 지난달 김용준 전 총리후보자의 아들 병역문제, 위장전입 의혹 등 결정적인 연쇄 보도로 눈길을 끌었다. ‘인사가 만사다’ 시리즈를 통해 최근에도 허태열 비서실장 내정자의 병역 의혹과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 후보의 로비 주선 논란 등을 보도하며 공직자 검증 보도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4일부터 연재를 시작한 ‘진보가 박근혜에게 말한다’ 릴레이 인터뷰에는 진보인사들이 연이어 등장했다. 지난 대선에서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를 지지했던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첫 인터뷰 대상자로 선보인 뒤 ‘88만원 세대’ 저자 우석훈 성공회대 교수, 참여연대 출신 김기식 민주당 의원, 노회찬 진보정의당 공동대표, DJ를 보좌했던 김성재 전 문화부 장관 등을 차례로 인터뷰를 했다.
대표적 보수지로 꼽히는 동아일보의 변화가 언론계의 화제가 되는 이유다. 지난해 6월 임기를 시작한 최영훈 동아일보 편집국장은 15일 본보 기자와 만나 “우리 사회에 만연한 진영논리를 벗어나 언론 본연이 가진 불편부당의 기능을 다하겠다”며 “1970년대 동아일보의 전성기를 회복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동아 측은 인사검증 보도 역량이 어제 오늘 축적된 것이 아니라고 설명한다. 1993년 김영삼 정부 초기 시절만 해도 언론의 인사검증은 생소했다. 당시 임채청 시경캡(현 동아일보 미디어전략담당상무)은 김영삼 정부 조각 검증 보도로 장관 3명과 서울시장까지 낙마시켜 한국기자상을 수상했다. 최 국장은 “이번 김용준 총리후보자 검증 역시 인사검증보도의 연속선상”이라고 설명했다. DJ정부 때 옷 로비 사건, 노무현 정부 시절 장상 국무총리 서리 낙마 등에 동아의 보도가 있었다는 것이다.
이 같은 검증 노하우에 종편 채널A와의 통합뉴스룸 구축이 시너지 효과를 냈다는 것이 자체 분석이다. 타 종편이 인사교류 정도에 그치고 있는 것과 달리 동아-채널A는 같은 사무실에서 일하며 취재부터 결과물까지 같이 내는 협업 모델을 만들었다. 총리후보로 김용준 후보자가 발표되자마자 양 사건팀 10여명의 기자들이 곧바로 검증에 착수했다. 보고라인은 한 곳으로 통일시켜 중복취재를 없애 효율을 극대화시켰다.
정원수 채널A 사건팀장은 “인사검증에 필요한 등기부등본 등 가장 기초적인 자료부터 검증을 시도했다”며 “기자들이 많은 현장을 직접 가고 관련자들을 어렵게 설득해서 만나는 과정을 통해 하나하나 팩트를 모았다”고 설명했다. 정 팀장은 “위장전입 혐의를 밝히기 위해 여러 곳을 방문했지만 타 언론사 기자는 만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동아 등을 비롯해 언론의 검증이 매섭게 시작되자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신상털기”라며 불편한 심기를 나타냈다. 이에 정 팀장은 “가족과 지인을 취재할 때는 취재원의 정신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예의를 지키고 취재하려는 바를 명확히 밝히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며 “당사자에게 항의 받은 적이 없을 정도로 취재원칙을 세웠고, 또 수시로 취재과정을 점검했다”고 말했다.
동아는 지난 대선 기간부터 달라진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대선보도검증위원회’를 구성해 자사 지면에 대한 미담식 비평 대신 혹독한 비판을 들었다. 여야의 성향 구분 없이 “깊이 없다” “단일화를 비꼰다” “박 후보에게만 호의적이다” 등의 비판을 지면에 그대로 실었다.
최 국장은 “좌든 우든 정파성에 치우치지 않고 칭찬할 것은 칭찬하고 귀담아 들을 이야기는 지면에 실을 것”이라며 “조중동 프레임에서 벗어나 동아만의 통합모델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원성윤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