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월간 5차례 회의 거쳐 문구·명칭 조율

국가안보 위기시 군 취재·보도 기준 어떻게 만들었나


   
 
 
한국기자협회가 국방부와 함께 ‘국가 안보 위기시 군 취재·보도 기준’ 제정에 나선 것은 2010년 11월 북한의 연평도 포격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기자들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군으로부터 정확하고 신속한 취재 지원을 받도록 하기 위해서다.

연평도 사건 당시 언론과 취재 문제로 갈등을 빚었던 국방부는 지난 2월 한국기자협회에 준칙 제정을 제안했다. 기자협회는 군의 투명한 정보공개와 기자들의 안전보장을 전제로 준칙 제정을 검토하기로 하고 양쪽이 각각 추천한 위원들로 준칙 제정 준비위원회를 꾸렸다.

기자협회에서는 김귀근 연합뉴스 기자, 유용원 조선일보 군사전문기자, 배성준 YTN 기자, 김성후 기자협회 기획팀장, 국방부에서는 김종찬 전 육군 정훈공보실장, 김철우 국방연구원 연구위원, 윤원식 국방부 공보담당관이 참여했다.

위원회는 4월부터 9월초까지 모두 5번에 걸쳐 회의를 갖고 준칙 필요성 여부에서부터 준칙 명칭, 내용, 문구 등에 대해 면밀하게 검토했다. 이 과정에서 기자협회는 171개 회원사에 공문서를 보내고, 회장단과 시도협회장들의 의견을 듣는 등 광범위하게 여론을 수렴했다.

기자들은 언론과 군의 신뢰가 두텁지 못한 상황에서 군과 협의해 준칙을 만드는 것은 정보 제약이 강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군사 기밀, 확인 불가, 무시’ 등 언론에 대한 군의 태도에 전향적인 변화가 없는 한 취재·보도 기준은 실효성이 없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기자협회는 기자들의 우려를 반영해 취재지원 및 신변안전, 정보공개를 확대하는 내용으로 준칙 초안을 대폭 수정하고 명칭도 ‘군 비상사태시 취재보도 및 기본원칙’에서 ‘국가 안보 위기시 군 취재·보도 기준’으로 바꿨다.

기자협회는 7월초 국방부와 공동으로 서문과 본문 13조, 7대 실천수칙을 포함한 ‘국가 안보 위기시 군 취재·보도 권고 기준안’을 잠정 확정하고 지난 8월29일 한국프레스센터 18층 외신기자클럽에서 토론회를 가졌다. 손태규 단국대 언론영상학부 교수는 “언론과 군이 머리를 맞대고 취재 보도 기준을 논의한 것은 역사적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기자협회와 국방부는 4일 준칙 제정 준비위원회 5차 회의를 갖고 지난달 29일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해 ‘국가 안보 위기시 군 취재·보도 기준’을 최종 확정했다. 취재·보도 기준은 9월24일 박종률 한국기자협회 회장과 김관진 국방부 장관이 서명하면 최종 확정된다.  김성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