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자유 이제 시민도 누리자
언개연 '액세스프로그램…' 세미나 '시민·사회단체 주축 준비위원회서 기준·원칙 정해야' 주장
방송개혁위원회의 통합방송법안은 KBS와 MBC에 시청자 참여프로그램 편성의무 조항을 규정했다. 이를 계기로 언론개혁시민연대가 27일 개최한 '액세스 프로그램,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에서 참가자들은 시민, 사회단체들이 모처럼 주어진 기회를 적극 활용하려면 준비위원회를 발족해 프로그램 운영방식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데 뜻을 모았다.
서울대 강명구 교수(언론학)는 "두 지상파 채널의 60분짜리 프로그램이 진정한 의미의 액세스 프로그램이 되도록 요구해야 한다"며 이렇게 주장했다. 이에 KBS 서재원 편성차장은 액세스 프로그램의 완성도와 참여할 시민단체의 시청자대표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케이블방송에서 우선 실험적으로 운영해본 후 점차 공중파방송에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참여연대 김칠준 협동사무처장(변호사)은 대안적 모델로 경기, 수원지역 시민단체들이 기획하는 경기방송 '생방송 시사21'의 사례를 소개했다. '시사21'은 참여연대, 경실련 등 7개 지역사회단체로 구성된 방송참여위원회(위원장 김칠준)가 경기방송에 시사물 제작을 제안해 98년 5월부터 방송되기 시작한 프로그램이다.
방송참여위원회가 안건을 내고 보도국이 제작하는 형태다. "참여위원회는 아이템 선정 기준과 원칙을 정하고 기획서를 심사하는 교통정리 역할을 맡는다"며 "시민단체들과 방송사측이 서로의 매카니즘을 이해하지 못해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친 후 만들어진 형태"라고 김 처장은 말했다. '시사21'은 수원역 노숙자 폭행사건 등 시민단체가 직접 파헤친 아이템부터 지하철 파업 등 전국적 이슈까지, 정부나 기업체 등 권력집단보다는 일반시민의 입장에 '경도'해 다뤄 청취자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굳이 시민이 직접 제작하지 않아도 시민의 생각과 의견을 보도의 중심에 담아내면 액세스 프로그램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이 자리에서는 또 정부가 공동의 제작시설과 제작교육 기회를 마련해 시민단체 의 제작능력과 참여기회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 있게 제기됐다.
이경숙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