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미화하거나 동정하는 보도는 금물"

'인권보도와 자살보도' 포럼


   
 
  ▲ ‘인권보도와 자살보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한 2011 사회부 기자 인권포럼이 한국기자협회·국가인권위원회·한국자살예방협회 주최, 한국언론진흥재단 후원으로 17~18일 제주칼호텔에서 열렸다.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 신문 26%·방송 18%

인권문제와 자살사건 보도에서 미디어의 역할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기자협회와 국가인권위원회, 한국자살예방협회는 17일 제주칼호텔에서 전국 언론사 사회부 담당 기자 60여 명을 초청해 ‘인권보도와 자살보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선 언론이 인권 증진과 자살 예방을 위한 첨병 역할을 하는 한편 취재 및 보도 과정에서 가해자가 될 수도 있다며 보도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인권보도준칙의 이해’를 주제로 발제를 맡은 김주언 인권보도준칙위원장은 “언론이 인권 침해 현장을 고발하고 사회적 여론을 환기시켜 인권 보장을 제도화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보도 과정에서 범죄 피해자나 일반인들의 인권을 침해하는 사례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범죄사건과 관련해 경찰의 피의사실이 법원에서 범죄사실로 확정되지 않았다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며 “초기 사건이 발생했을 때 검찰과 경찰의 발표를 그대로 보도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는 인권 침해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아동과 장애인 등 소수자 관련 범죄 보도에 있어서는 2차 피해가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면서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를 비하하거나 인격을 침해하는 보도를 자제하고 차별을 조장하는 언어는 중립적인 용어로 대체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권고했다.

자살 보도에 관한 미디어의 역할론도 집중 논의됐다. 한국의 자살률은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전 국민 사망 원인에서 자살이 4위를 차지했다. 이처럼 해마다 자살률이 높아지는 데 언론 보도가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자살예방협회 미디어위원을 맡고 있는 권영철 CBS 선임기자는 “언론에서 자살방법을 자세하게 묘사할수록 이를 모방하는 자살이 급증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연구결과”라며 “잘못된 보도들이 이른바 ‘베르테르 효과’(모방 자살)가 나타나게 하는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나온 것이 2004년 기자협회와 자살예방협회가 마련한 자살보도 권고기준이다. 그러나 자살예방협회가 지난 1월부터 7월까지 KBS·MBC·SBS·YTN 등 방송 4사와 주요 일간지 10개사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 여부를 조사한 결과 신문의 준수율은 26%, 방송의 준수비율은 18%로 현저히 낮았다.

권 기자는 “자살과 관련된 보도를 할 때는 자살을 흥미 위주로 다루거나 방법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개인적 문제를 이기지 못해 자살했다는 식의 보도를 해서는 안 된다”며 “자살은 옳지 못한 행동이며 그로 인해 주위 사람들이 곤란을 겪을 것이라는 점을 부각시켜 자살에 대한 미화나 동정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미디어의 기본적인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김종철 한겨레 선임기자는 “언론이 자살 보도를 지양하면 좋겠지만 특히 유명인의 경우 보도를 하지 않을 수 없는 만큼 ‘어떻게’ 하는 것이 맞는지를 고민해야 한다”면서 ‘미디어 팁’을 제안했다. 그는 △헤드라인에 자살이란 용어를 사용하거나 구체적 장소와 방법을 묘사하는 보도 △자살을 미화하거나 문제해결 수단으로 제시하는 보도는 지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자살률의 최근 경향 △자살에 관한 잘못된 상식 △자살위기에 처한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방법 등을 소개할 것을 권했다. 김고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