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를 버려라, 독자를 끌어라"

시사주간지 생존해법 있나



   
 
   
 
단독·특종 기사 등 콘텐츠로 유가부수 늘려야


시사주간지는 이 미디어격변기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한겨레21, 시사IN, 주간조선, 주간동아 등 시사주간지의 광고가 늘어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광고보다는 ‘유가부수 늘리기’만이 생존해법이라고 말한다.

트위터 등을 통한 독자와의 소통, 정직하고 질 높은 콘텐츠 제공 등 정공법이 새삼 부각되는 이유다. 광고국 관계자들 사이에서도 기업 홍보기사로 광고를 유치하는 등 기사 장사는 ‘언 발에 오줌누기’, ‘독약’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지난 3~5년 사이 시사주간지의 광고실적은 크게 하락했다. 시사주간지 전성기의 끝 무렵이었던 2004년과 비교하면 ‘광고가 반토막 났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한결같은 말이다.

본보 조사결과 2011년 7월 시사주간지에 실린 기업광고(자체광고 및 책광고 제외) 게재수는 주간조선 12~13개, 한겨레21 9~10개, 주간동아 8~9개, 주간경향 8~9개로 나타나 격세지감이다.

2004년 7월 기자협회보 조사결과에 따르면 당시 평균 광고 게재수는 주간조선 30여 개, 한겨레21 24~25개, 시사저널 30여 개 수준이었다.

2007년 7월 기업광고 평균도 주간조선 20여 개, 한겨레21 17개, 주간동아 18개, 주간경향 18개, 주간한국 20개 등을 기록했다. 2008년 조사에서도 소폭 감소했으나 두 자릿수는 유지했다.

주간조선 광고국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하면 선방을 하고 있다”며 “하지만 4~5년 전부터 급격히 빠지기 시작한 광고 수준을 회복하긴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시사주간지의 광고가 하락 및 정체현상을 보이고 있는 것은 인터넷과 모바일 등 다양해진 미디어 광고 플랫폼이 시사주간지의 전통적인 광고물량(수입차, 시계 등 명품광고 등)을 빨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전통적인 종이매체가 새로운 광고시장을 발굴하기에도 여의치 않다는 설명이다.

주간동아 광고국의 한 관계자는 “이제 기업들이 시사주간지에 겁을 먹었으면 먹었지 광고에는 별 매력을 못 느끼고 있는 것 같다”며 “인터넷이나 패션지 등 실질적 소득이 있는 플랫폼으로 전략을 수정했고 앞으로 더 가속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생존전략은 ‘유가부수’에 맞춰지고 있다. 시사주간지의 경우 판매와 광고 비중이 8대 2에서 7대 3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때문에 광고시장이 요동치더라도 판매만 유지한다면 흑자 경영을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모회사가 있는 시사주간지의 경우 유가부수 2만부, 독립언론의 경우 3만부를 유지하면 광고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경영이 가능하다는 지적이다.

시사IN의 한 경영진은 “시사IN은 이제 유가부수 4만부에 육박해 안정궤도에 올랐다”며 “독자 확보가 잠시 주춤하긴 하지만 판매와 광고 비중이 8대 2로 광고에 좌지우지될 정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한 “이제 시사주간지의 광고시장이 더 성장하기 힘들다”며 “광고 비중을 낮추고 콘텐츠 및 판매에 집중하는 전략이 독립언론으로서의 지향점에도 맞고 생존에도 더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한겨레21 광고국의 한 간부도 시사주간지는 광고보다는 단독·특종 기사 등 독자들이 요구하는 콘텐츠 생산 및 유가부수 확장에 치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매체 다변화로 광고가 실릴 매체는 얼마든지 있다는 것이다.

그는 “현재 몇몇 시사주간지들이 임시방편인 기사 장사로 기업협찬을 이끌어내는 방식을 쓰고 있는데 이는 장기적으로 콘텐츠의 질 저하를 불러 독자의 외면을 낳는다”며 “단독·특종 등 좋은 기사로 독자가 읽고 싶게 만들어야지 독자 없는 광고 협찬이 시사주간지의 생존법이 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ABC 협회는 지난 4월 말 전국시사주간지의 유가부수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한겨레21 4만8천부(배포부수 5만2천부), 시사IN 3만5천부(3만6천부), 주간경향 1만8천부(1만9천부)로 나타났다. 주간조선과 시사저널은 신고에 참여했으나 실사단계에서 포기했으며 주간동아는 ABC 협회 회원사가 아니라 제외됐다. 민왕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