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들 있어 광주 외롭지 않아"
80년해언협, 5·18특별법 포함 건의…김준태 이사장 "지원방안 찾겠다"
|
|
|
|
|
▲ 80년해직언론인협의회 고승우 대표 등은 20일 광주 서구 쌍촌동 5·18기념재단을 방문해 김준태 이사장과 환담했다. |
|
|
“기자들이 5·18 때 저항한 것만 자랑하고 살아도 되는가 생각했다.” 정남기 전 한국언론재단 이사장은 20일 광주에서 열린 제6회 ‘기자의 날’ 행사에서 “한국의 언론 현실에 대해 해직 언론인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결의를 다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80년해직언론인협의회(80년해언협)와 한국기자협회, 전남대5·18연구소는 이날 광주에서 제6회 기자의 날 기념식 및 5·18민주화운동 31주년 기념 언론 세미나를 개최했다.
전국 언론사 기자들은 1980년 5월 전두환 신군부의 광주학살에 항의해 검열 및 제작거부 투쟁을 벌였다. 한국기자협회는 2006년 언론인 투쟁이 시작된 5월20일을 기자의 날로 제정해 그 정신을 기리고 있다.
80년해언협은 이날 5·18기념재단을 방문해 김준태 이사장과 환담하고 80년 5월 언론인 투쟁이 광주특별법 테두리 속에 담길 수 있도록 5·18재단의 협조를 요청했고 김 이사장은 적극 돕겠다고 화답했다.
고승우 80년해언협 공동대표는 “광주항쟁 기간 신군부에 저항한 세력은 광주시민을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언론인들이 유일했다”며 “신군부의 보복으로 강제 해직된 언론인 투쟁을 광주특별법에 포함시키는 것이 진정한 역사 바로잡기다”라고 말했다.
한겨레 편집국장 출신인 윤후상 충남대 언론정보학부 초빙교수는 “전국의 기자들이 광주와 호흡을 같이하며 공동 투쟁을 했기에 광주는 외롭지 않았다”며 “기자 1천여 명이 쫓겨난 사건은 역사의 중요한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준태 이사장은 “언론계 선후배의 투쟁에 대한 조명은 광주 5월 정신 계승의 일환”이라며 “광주특별법에 언론인투쟁이 포함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찾아 보겠다”고 말했다.
80년 해직언론인들은 지난 2000년 출범한 민주화보상심의위원회를 통해 2백여 명이 민주화 관련자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보상이 아닌 생활지원금을 지급하고 해직된 언론사가 아닌 타 언론사 취업은 해직이 종료된 것으로 간주하는 조건이 붙어 극소수만이 혜택을 받았다.
한편 이날 열린 ‘이명박 정권과 언론’을 주제로 한 언론 세미나에서 손정연 전 한국언론재단 이사는 “이명박 정부의 대 언론관은 비판 기능 약화에 방점이 있다”며 “편가르기와 지원제도를 통한 길들이기로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손 전 이사는 미국의 국제언론감시단체인 ‘프리덤하우스’가 발표한 언론자유 평가에서 한국이 ‘언론자유국(Free)’에서 ‘부분적 언론자유국(Partly Free)’로 강등된 사례는 언론자유가 후퇴한 실증적 증거라고 강조했다.
박원우 광주전남기자협회장은 “종합편성채널을 핵심으로 한 미디어법은 지역신문 등 중소언론에 심대한 타격을 주고 있다”며 “거대 언론사만 살리는 이명박 정부 언론정책은 궁극적으로 국민 알권리를 침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성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