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벽 허물고 소통으로 하나 된다

[우리부서를 소개합니다] 대구일보 사회팀



   
 
  ▲ 뒷줄 왼쪽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윤용태 사회팀장, 문정화 차장, 고정일 기자, 배준수 기자, 이혜림 기자가 사진촬영을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특집기사 취재 중인 이동률, 양일규 기자는 아쉽게도 빠졌다.  
 
수많은 대화와 칭찬으로 팀 분위기 ‘UP’
시행착오 거치며 새로운 역사 향해 ‘GO’

<대구일보 사회팀>
윤용태 팀장
문정화 차장   
고정일 기자
배준수 기자    이동률 기자
이혜림 기자    양일규 기자


스트레스의 집합소. 신문사가 늘 그렇듯이 오늘도 예외는 아닙니다.
이른 아침 출근길, 회사에 도달할 즈음이면 늘 습관처럼 창문을 꽉 닫습니다. 그러고는 큰 소리로 웃습니다. 엔도르핀이 솟아 기분이 좋습니다.

다행히 사람의 뇌는 즐거운 웃음과, 억지웃음을 판별할 수 없는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합니다. 뇌를 속이는 이 같은 행위는 매일 아침 반복됩니다.

스트레스를 피할 방법이 있을까요. 글쎄요….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 이제는 좌우명이 됐습니다.

회사가 가장 강조하는 말, 바로 ‘소통’입니다. 임원진과 중간 간부, 중간 간부와 팀원, 기자와 기자 사이를 떡하니 가로막고 있는 마음의 벽을 허무는 일이죠.

일상적인 업무 및 정보 보고를 통해서 소통은 시작됩니다. 잦은 전화 통화와 문자 주고받음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신문사는 정보의 순환 속도가 거의 절대적이니까요.

회사생활이 즐거울 수 있는 팁(tip)을 하나 드릴까요. 잦은 대화를 해보세요. 평소 근엄하고 딱딱했던 상사가 언제부터인가 ‘말랑말랑’하게 마음을 터놓을 수 있는 친구사이로 변함을 느낍니다. 마법이 눈앞에서 펼쳐질 겁니다.

또 있습니다. 단점이 아닌 장점만을 눈여겨보세요. 그리고 칭찬을 해주세요. 어제와는 다른 상사 또는 부하가 내 앞에 서 있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대구일보 사회팀은 팀장인 저를 포함해 7명이 일선 현장을 뛰고 있습니다. 출입처는 어림잡아 40곳이 넘습니다. 항상 만만치 않게 부딪쳐야 할 상대죠.

문정화 차장은 교육을 맡고 있습니다. 쉽지 않은 출입처이지만 사회초년병 시절 교사 경험이 현재 큰 도움이 되나 봅니다. 공급자(시·도 교육청, 일선 학교 등) 입장이 아닌 수요자(학부모, 학생 등) 입장에서 기사를 쓰라는 윗선의 압박이 조금은 부담이 될 터. 그렇지만 15년차 베테랑 짬밥은 서서히 위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시경 캡인 고정일 기자. 기자 입문 전 5년간 군에서 장교로 근무했습니다. 그래서인지 책임감이 무지 강합니다. 또 전국 신문사를 통틀어 기사 량에서는 아마 세 손가락 안에 꼽힐 겁니다. 그래서 붙은 별명이 ‘기사 제조기’.

배준수 기자, 잠시 외도를 하다 한 달 전 대구일보 사회팀에서 다시 손발을 맞추고 있습니다. 친정에 되돌아오니 마음이 편안한가 봅니다. 발에 땀이 날 정도의 열정으로 기사를 쏟아내자 “사회면 기사 한 꼭지 넣기 힘들다”며 다른 기자들이 불만(?)이 쏟아집니다.

이동률 기자는 ‘불독’으로 통합니다. ‘한 번 물면 놓지 않는’ 저돌적인 스타일이죠. 장점은 또 있습니다. 정보수집 능력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합니다. 팀장을 깜짝깜짝 놀라게 하는 ‘특종’을 자주 물어 옵니다.

‘날씨 전문기자’를 꿈꾸는 이혜림 기자는 늘 팀장의 기분을 2백% ‘업’ 시킵니다. 가냘픈 외모지만 모든 임무를 완벽히 처리하는 ‘외유내강형’ 이랄까. 올해 3년차로 접어들면서 필력은 한껏 물이 올랐습니다.

이제 갓 수습을 뗀 사회팀 막내 양일규 기자는 ‘피식~’ 웃는 모습이 귀엽습니다. 아직 경험이 미숙해 ‘대물’은 놓치고, ‘피라미’만 잡아오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여태껏 시행착오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팀원들은 각자에게 주어진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소통으로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가는… 대구일보 사회팀 파이팅~. <윤용태 사회팀 팀장>

윤용태 사회팀 팀장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