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평균 20건 이상 글 올린다’ 40% …언론사·개인 의견 혼동 문제도 나타나
지난해 국내에 ‘트위터(twitter)’, 즉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소개된 이후 기자들의 사용도 크게 늘었다. 기자들은 독자와 소통의 도구로서, 아이디어 발굴과 네트워크 확대 측면에서 트위터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하지만 부작용도 적지 않았다. 취재원 스스로가 트위터를 통해 입장을 나타냄으로써 속보 싸움에서 밀리는 데다가, 시간도 많이 들어 피로감이 높아졌다. 이에 본보는 트위터를 적극적으로 사용한 기자들을 대상으로 이메일·전화를 통한 면대면 설문을 실시해 SNS의 장단점 등 운영소감을 들어보고 과제에 대해 짚어 보았다.
설문에는 모두 30명의 기자가 참여했다. 언론사 분류로는 중앙일간지 6명, 방송사 4명, 경제지 3명, 주간지 2명, 지역 일간지 6명, 지역 방송사 2명, 온라인 매체 5명, 스포츠지 2명이다. 취재기자는 물론 편집기자, 사진기자들도 포함됐다. 이들은 최소 1천명 이상의 구독자(Follower) 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2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트위터를 운영했다.
이들 기자들은 지난해 트위터 개설을 가장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의 50%(15명)가 “지난해 5~10월 사이 가입했다”고 답변했다. 기자들은 지난해 5월 김연아 선수가 트위터에 올린 글이 언론에 화제가 되는 등 유명인의 가입이 급증하면서 트위터 계정을 만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기자들은 올해 초와 최근 4개월 사이 계정(43.3%)을 만들었다. 일부(6.6%)는 2008년에 이미 가입했다. 이들은 해외에서 ‘페이스북’과 트위터가 화두가 되면서 “외신보도를 접하기 위해 개설했다”고 답했다.
기자들의 트위터 참여는 선후배 기자, 취재원 등 지인들의 추천이나 언론의 보도가 작용했다. “지인의 권유에 의해서 가입했다”는 의견이 전체의 40%를 차지했으며 “언론 보도를 접해서”라는 의견도 33.3%로 나타났다. 그 외 “맡은 부서가 IT나 뉴미디어 관련”이거나 “회사의 스마트폰 지급으로 시작했다”는 의견은 23.3%를, “평소에 관심이 있었다”는 3.3%를 각각 차지했다.
‘공적 용도 사용’ 53.3%기자들은 트위터를 공적인 용도로 활용하는 비중이 높았다. 전체의 53.3%가 “공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편”이라고 답했다. ‘회사 이미지 제고’와 ‘기사 재전송’, ‘독자와의 소통’ 등이 그 이유다. 공과 사의 비중이 비슷하다는 의견도 30%로 나타났다. 한 온라인매체 기자는 “개인적인 용도로 시작했지만 구독자 수가 늘면서 공적인 용도가 70~80%로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개인적 비중이 높다고 답한 기자(16.6%)들도 ‘아이템 확보’나 ‘네트워크 형성’을 주된 이유로 꼽아 사실상 취재에 활용하고 있었다.
전체의 40%(12명)에 해당되는 기자들은 하루 평균 ‘20건 이상’의 글을 트위터에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가운데 절반 이상은 하루 평균 50~60건, 많게는 1백여 건의 글을 올리기도 했다. 논쟁적 사안이 발생할 때 사용 빈도가 증가했다. 10~20건을 올린다는 의견은 30%, 5~10건은 16.6%, 5건 이하 13.3%로 각각 나타났다.
이들은 국내 SNS 사용자가 늘어난 이후 취재환경이 바뀌었다고 평가했다. 전체의 63.3%가 취재환경 변화를 “매우 체감한다”고 답했다. “체감하는 편”이라는 의견도 30%로 나타났다. 한 중앙일간지 기자는 “‘디지털 뻗치기’라는 신조어가 나올 정도로 트위터도 하나의 출입처 개념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 방송사 기자는 “트위터에 올린 정보가 나중에 ‘엠바고(일정시점까지 보도 유예)’가 걸린 사안으로 확인돼 회사의 다른 기자가 출입처에서 출입정지를 당했다”고 밝혔다.
반면 “취재환경의 변화는 크지 않다”는 의견(6.6%)도 있었다. 다른 중앙일간지 기자는 “시스템 상 편리해졌을 뿐 여전히 출입처 중심의 문화는 그대로”라고 지적했다.
기자들은 트위터 사용의 장점으로 “취재에 용이하다”고 분석했다. 취재원 관리와 정보수집, 아이디어 발굴, 제보에 활용가치가 높다는 의견이 전체의 60%를 차지했다. 방송사 한 기자는 “연락처를 알아야 접근할 수 있는 취재원들에게 비공개 메시지(DM)를 보내 코멘트를 받아 기사작성에 활용했다”고 말했다. 중앙일간지 기자는 “‘맞춤형 제보’가 들어온다”며 “비익명성 때문인지, 신뢰수준도 높다”고 밝혔다.
‘소통·피드백 장점’ 23.3%소통이나 피드백(23.3%), 자기 브랜드 강화(3.3%)를 장점으로 꼽은 기자들도 있다. 한 온라인매체 기자는 “자신의 바이라인(이름)에 대한 책임감이 커진다. 피드백이 직접적이고 실시간으로 오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 지역일간지 기자는 “지역 블로거 관리 등 네트워크 구축과 소통에 적극 활용한다”고 밝혔다. 또한 “사고의 틀을 열어준다(10%)”, “기사에 담지 못한 내용 소화(3.3%)”도 장점으로 제시됐다.
트위터의 단점으로는 ‘시간 투자’와 ‘언론사 입장과 개인의견 혼동’이 가장 높았다. “시간투자로 업무에 지장이 있다”는 의견은 36.6%로 나타났다. 한 주간지 기자는 “‘마이크로 블로그’라는 별칭이 딱 맞다”며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개인의 입장을 밝힌 것이 언론사 입장으로 오해되는 때가 있다”는 의견도 20%였다. 나아가 이것이 기자들의 “‘자기검열’로 이어지고 편하게 의견을 개진하지 못하는 때가 있다(10%)”고도 했다. “정제되지 않은 정보들이 난무한다(10%)”, “엠바고를 깨고 싶은 욕구가 생긴다(6.6%)”, “즉각적인 피드백에 대한 부담(3.3%)”, “다른 일을 한다는 인식(3.3%)”도 나왔다.
아직까지 국내 기자들의 트위터 활용이 그리 높지 않은 이유에 대해 전체의 36.6%가 신분공개와 개인 의견표출에 대한 거부감을 들었다. 또한 “바쁘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30%를 차지했다. 한 일간지 기자는 “본격적인 업무시간 이전인 오전 8~9시, 퇴근 후인 오후6시 이후 주로 사용한다”며 “현업과 동시에 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시스템을 이해하지 못해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도 각각 10%와 16.6%로 집계됐다.
한 보수성향의 신문기자는 “트위터의 특성상 개인의 성향이 드러나는데 이에 대한 거부감으로 안하는 기자들이 많다”고 말했다. 다른 보수성향의 신문기자도 자사에 “SNS 사용 가이드라인이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언론사들은 기자들의 SNS 활용을 장려하는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들의 66.6%가 회사 차원에서 스마트폰을 지급했거나 단말기 보조금 지원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원을 할 예정인 곳도 20%로 나타났다.
‘언론사 SNS 장려’ 66.6%기자들은 회사가 스마트폰을 지급하는 이유로 “SNS 사용을 장려하는 측면이 있다”(66.6%)거나 “SNS 사용을 강제하지는 않지만 장려하는 편”(26.6%)이라고 답변했다. 이에 대해서는 ‘새로운 미디어 경험을 통한 경쟁력 확보’ 차원(53.3%)이라고 해석했다. 타사와의 경쟁, 독자와의 소통, 취재 및 업무에 활용(23.3%)도 이유로 거론됐다.
한 지역일간지 기자는 “보조금의 일부를 지원하면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늘었고 회사 차원에서 SNS를 장려해 사장부터 일선기자까지 25명가량이 트위터 계정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한 경제지와 종합일간지 기자도 스마트폰 지급 이후 편집국 기자의 50~60명이 트위터 계정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기자들은 SNS와 기존 미디어들과의 관계에 대해 “‘상호보완재’가 될 것(56.6%)”, 혹은 “일부 대체(43.3%)”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이들은 SNS가 향후 미디어로서의 가치가 “높다(60%)”, “있는 편이다(40%)”며 상대적으로 후한 점수를 매겼다.
한 종합일간지 기자는 “SNS가 기존 미디어들을 대체하기에는 신뢰도 등에서 아직 한계가 있다”며 “하지만 여론 주도층, 소스독점, 속보 등에서는 기능을 내어줄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다른 일간지 기자는 “속보를 확인하기 위해 더 이상 포털을 주시하거나 통신사 기사를 확인하지 않는다”며 “언론사들이 서둘러 심층성, 전문성 강화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곽선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